언론개혁 논의에 대해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가 모두 자의적 왜곡으로 대응하고 있으나 언론사별 방식은 각기 다르게 나타났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김연종 단국대 언론영상학부 교수는 전날에 이어 21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제3부에서 '신문보도로 본 '조중동'의 언론개혁 대응방식'이란 제목의 논문을 통해 올해 1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언론개혁' 관련 기사를 분석한 결과를 소개했다.

관련 기사는 중앙 43건, 동아 41건, 조선 36건이었는데 중앙은 '정치개혁'(51.2%), 동아는 '언론개혁'(46.3%), 조선은 방송개혁(22.2%)에 상대적으로 비중을 많이둔 것으로 집계됐다.

유형별로 보면 동아의 외부칼럼 비중이 12.2%로 가장 높았으며 인터뷰 비중은 중앙(9.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선에서는 여론조사 기사 2건(5.6%)이 눈에 띄었다.

기사의 논조나 성향을 보면 조선에서는 중립적 기사(30.6%)보다 상대비판(63.9%)이 훨씬 두드러진 반면 중앙은 86.0%가 중립적인 기사였다. 동아에서도 중립적 기사(61.0%)가 상대비판(39.0%)을 앞질렀다.

기사의 중심인물이나 단체도 차이를 드러냈다. 조선과 동아는 노사모나 시민단체를 중심적으로 다룬 기사가 각각 16.7%와 14.6%인 반면 중앙은 2.3%에 불과했다.

또한 중앙은 한나라당이나 민주당을 주요 취재원으로 삼은 기사가 3건(7.0%)인 데비해 동아와 조선은 한 건도 없었다.

세 신문의 언론개혁 관련 기사의 담론 구성을 보면 언론개혁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조선의 경우 언론개혁이라는 말이 등장할 때마다 "비판신문이 주도하는 신문시장을 재편하려는 시도"(5월26일)라는 등의 설명을 붙이고 있으며 그 방법은 "강제로 라도 재편하겠다는 것"(5월31일)이라고 규정한다는 것이다.

동아도 한나라당 김형오사무총장의 말을 인용해 "언론사의 소유지분을 제한해 정권에 비판적인 언론에 재갈을 물리려는 시도"(4월24일)라고 정의한다.

중앙에서는 언론개혁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여당 일부에서 언론개혁이니 뭐니 하여 다시 갈등을 부추기고 있지만"(5월4일) 하는 식으로 냉소적인 입장이나 폄훼하려는 시선이 군데군데 드러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세 신문은 스스로를 '비판신문', 개혁주체인 상대를 '친노세력'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언론개혁 주체의 정책이 얼마나 무모한지, 또 그 방법은 얼마나 일관성이 없는지 등을 강조하고 있다는 게 김 교수의 설명이다.

김 교수는 이들의 대응전략을 △언론자유 등 원칙과 명분 강조 △자사중심적 시각 보도행태 △상대에 대한 비방이나 조롱 △여론오도 또는 여론몰이 △우군 확보와 지원군에 의한 반격 △공범 만들기와 '물타기' 전략 등으로 정리했다.

그는 "언론개혁이 실시되면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이해하더라도 진실을 외면하거나 이상을 저버린 채 자사의 입장에 따라 자의적 왜곡을 일삼고 있다"고 지적한 뒤 "특히 최근 벌어지고 있는 노무현 대통령이나 정부 정책들에 대한 보도태도를 보면 과연 국가의 장래를 진심으로 걱정하고 있는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고 꼬집었다.

이어 김기태 호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KBS와 MBC 매체비평 프로그램의 문제점으로 △동일한 텍스트에 대한 상이한 평가 △과정은 없고 결론만 있는 점 △이슈중심의 부정기성 △매체비평을 매체비판으로 이해하는 경향 △전문성과 성실성 부족 △칭찬에 인색한 풍토 등을 들었다.

그는 "매체비평이 상호비난으로 흐르지 않도록 비판의 근거가 명확하고 설명도 합리적이어야 하며, 자신을 포함한 동종 매체에 대한 비판과 반성에 적극적이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에 앞서 '신문구조 개선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이라는 주제논문을 발표한 김영욱 한국언론재단 책임연구위원은 "소유지분을 과도하게 제한하면 '법익의 균형성' 원칙에 어긋나는데다가 외국의 경험에서도 소유지분 제한이 미디어 집중과 과점을 막는 데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강한 반발이 예상되고 실익은 없는 소유지분 제한제도를 추진할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시장 점유율 제한은 독자의 선택권을 박탈하기 때문에 더욱 관철하기 어렵다"면서 "지상파 방송과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의 진입 장벽이나 판매 부문에 대한 부가가치세 면제 등 국가적 지원을 소유구조나 점유율과 연계시키는 것이 상대적으로 더 큰 설득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서울=연합뉴스) 이희용 기자 heey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