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19일 6명의 부처 차관을 포함한 9명의 차관급 인사를 단행함에 따라 참여정부 국정2기 인적 개편을 사실상 마무리했다.

노 대통령은 앞서 지난달 30일 국회의 인준을 받은 이해찬(李海瓚) 국무총리를임명한데 이어 통일, 문광, 보건복지 등 3개 부처의 장관을 교체했으며, 후속조치로이날 차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총 6개 부처 차관과 3개 외청장을 대상으로 이뤄진 이날 차관급 인사는 참여정부 출범 이후 가장 큰 규모이며, 지난 1월에는 4개 부처 차관을 포함한 5명의 차관급 인사가 교체됐었다.

하지만 경질설이 꾸준히 나돌았던 외교통상부, 국방부, 국정원 등 외교.안보라인의 경우에는 이번 인선에서 일단 제외됐다.
감사원 조사 결과 등이 나오면 추가개편을 검토할 가능성이 크다.
또 한차례의 개편요인을 남겨둔 셈이다.

이번 차관급 인사의 특징은 무엇보다 국정운영의 안정성과 연속성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게 대체적인 분석이다.

정찬용(鄭燦龍) 청와대 인사수석도 "국정의 안정적 운영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그동안 재임기간 이뤄진 직무역량 평가, 해당 장관 등의 의견을 고려해 이뤄졌다"고 밝혔다.

정 수석은 또한 인선원칙에 대해 "적재적소의 원칙 아래 전문성, 개혁성, 역량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했다"며 ▲내부 승진 ▲부처간 교류 ▲퇴직자 기용 등이 중요한 기준이 됐음을 분명히했다.

우선 1급 공무원 가운데 실력이 뛰어난 사람을 발탁, 기용한 `내부 승진' 케이스는 교육, 통일, 행자, 보건복지부, 산림청 등 5개 기관이다.

정 수석은 김영식(金永植) 교육차관에 대해 "교육부 혁신과 개혁에 남다른 열정과 의지가 있으며 직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조직혁신에 앞장섰다"며 승진기용 이유를 설명했다.

이봉조(李鳳朝) 통일차관은 참여정부 출범 이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정책조정실장을 맡으며 개성공단 건설, 북핵문제 등 대북 현안과제에 대한 조정.조율업무를 원활히 수행해 왔다는 점이 평가됐다.

행자부 차관보를 지낸 권오룡(權五龍) 행자차관은 정부혁신과 지방분권 등 행자부의 핵심과제를 수행할 역량이 있다는 점에서, 송재성(宋在聖) 복지차관은 보건.복지행정에 정통하다는 점, 조연환(曺連煥) 산림청장은 산림행정 전문가라는 점 등이청와대가 밝힌 승진 이유이다.

또한 여성차관과 중소기업청장으로 각각 발탁된 신현택(申鉉澤) 문화관광부 기획관리실장과 김성진(金成珍) 청와대 산업정책비서관은 부처간 이해관계 조정능력을인정받아 `부처간 교류'가 이뤄진 경우이다.

정 수석은 이와 함께 조환익(趙煥益) 산자차관과 손정수(孫貞秀) 농촌진흥청장에 대해서는 "민의 경험, 바깥의 경험을 중요시해 퇴직했던 공무원 가운데 재기용한경우"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차관급 인선과정에서 해당 장관들로부터 인사의견을 문서로 제출받아반영한 것이 큰 특징으로 꼽힌다.
이는 당초 예상보다 차관급 교체 규모가 커진 이유 가운데 하나로도 이해된다.

정 수석은 통일부와 복지부 장.차관이 한꺼번에 교체된데 대해 "장관이 바뀌면차관이 계속하는게 업무의 연속성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하지만 1급들도 업무의전문성이 있으며, 예외적이기는 하지만 해당 장관들의 의중을 높이 존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경제악화 등을 이유로 재정경제부 차관 교체설이 꾸준히 나돌았으나, 이헌재(李憲宰) 경제부총리가 "계속 함께 일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 `잔류'쪽으로 결론을 내렸다는 후문이다.

이해찬 총리 취임 이후 총리실 및 국무조정실의 차관급 인사도 예상됐으나 이번에는 제외됐으며, 정 수석은 이에 대해 "총리가 해야죠"라고 밝혀 추후 별도로 이뤄질 것임을 시사했다.

이와 함께 이번에 발탁된 차관급 인사는 모두가 50대로, 50대가 참여정부의 `막강파워'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입증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범현기자 kbeom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