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플라스틱제품 업계가 원료가격 폭등과 폐기물부담금 부과,1회용품의 과도한 사용규제 등의 3중고로 문닫는 기업들이 늘고 있는 등 도산위기에 몰리고 있다.

한국프라스틱공업협동조합연합회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플라스틱 원료인 폴리에틸렌 가격급등 등으로 플라스틱제품 업체들이 이미 문을 닫았거나 가동중단에 들어간 기업이 3백5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전체 플라스틱업체 7천여개중 약 5%에 이르는 것이다.

이에 따라 연합회는 정부에 플라스틱 제품업계의 위기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건의키로 했으며 이를 촉구하기 위해 전체 플라스틱제품 업체를 대상으로 서명운동에 들어갔다.

또 원료생산 대기업과 제품생산 중소기업 유관단체 등이 참여하는 "플라스틱산업발전협의회"를 구성해 공동으로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원자재 가격 강세로 문닫는 기업 늘어=플라스틱업계가 가장 큰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은 올 들어 폭등한 플라스틱 원료인 폴리에틸렌 가격 때문이다.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의 가격은 지난 6월 말을 기준으로 t당 1천39달러로 올 1월의 9백10달러보다 14.2% 올랐다.

지난해 1월 7백62달러에 비해선 무려 36.4%나 폭등했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도 지난 6월 말 가격이 t당 8백84달러로 작년 1월에 비해 30.8%,올 1월에 비해선 9% 올랐다.

이런 가격폭등으로 업계는 올 들어 가동중단에 들어갔거나 부도를 낸 기업이 3백50개가 넘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게다가 앞으로도 문을 닫을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이재학 프라스틱조합연합회 이사는 "채산성 악화에 따른 한계상황을 호소하는 기업들의 전화가 하루에도 수십통씩 걸려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원료의 원가공개와 원유가격과의 연동제를 실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폐기물부담금도 채산성 악화요인=폐기물 처리비용을 부담하는 폐기물부담금제도가 지난 2002년 12월 개정되면서 폐기물부담금 부과대상이 합성수지원료에서 플라스틱제품으로 변경됐다.

중소 플라스틱 제품업체들은 쓰레기봉투나 생활용기 비닐 등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종업원 5인 이하,연간 매출액 5억원 이하인 기업이 약 70%를 차지할 정도로 영세하다.

기업들은 플라스틱 제품에 대해 폐기물부담금을 내는데 이때 투입되는 원료량으로 환산(폴리에틸렌 ㎏당 3.8∼7.6원)해 이를 납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업체당 수십만원에서 수천만원씩 부담금을 내고 있으며 전체 중소기업들이 내는 부담금은 연간 2백여억원에 이른다고 연합회는 설명했다.

경기도 동두천에서 플라스틱 용기를 생산하는 DKC의 맹충조 대표는 "연간 4천5백만원의 폐기물부담금을 내고는 더이상 가동할 수 없다"며 "최근 환경부를 상대로 폐기물부담금을 중소기업에 떠넘기는 것은 부당하다는 내용의 소송을 제기했다"고 말했다.

◆1회용품의 과도한 규제로 몸살=이 밖에 중소플라스틱제품 업계는 지나친 1회용품 사용규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샌드위치를 포함한 햄버거류의 포장에 쓰이는 용기까지 1회용품으로 규제하는 것은 영세 중소플라스틱제품 업체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애로요인이 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계주 기자 leer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