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불황으로 올 상반기 내내 창업시장은 바짝 얼어붙어 있다. 장사가 안돼 업종을 바꾸는 사람들이 속출하고 상가 권리금도 뚝 떨어지는 상황이다. 내수가 꿈쩍도 하지 않는 상황에서 섣불리 창업시장에 뛰어들었다가 낭패를 보지 않을까 하는 걱정 때문에 창업열기가 좀처럼 불붙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이런 가운데서도 창업열기가 서서히 살아날 것이라고 낙관한다. 점포임대료와 권리금이 낮아지고 있고 오랜시간 관망해온 예비 창업자들이 본격적인 행동에 나설 가능성도 적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프랜차이즈협회와 한국경제신문사가 공동으로 개최한 '한국프랜차이즈대상' 행사는 이 시점에서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제조업체들이 해외로 잇달아 탈출하는 상황에서 '10년 뒤 먹고 살 길'은 프랜차이즈밖에 없기 때문이다. '프랜차이즈는 복제산업'이란 말이 있다. 하나의 모델을 만들어 놓고 일정한 시스템에 맞춰 같은 형을 만들어낸다는 뜻이다. 복제는 과학의 세계에서만 유용한 기술이 아니다. 산업분야에서도 복제는 유용하다. 그런 의미에서 프랜차이즈는 외교 국방 행정 등 일부 공공재를 제외하고 어디든지 활용할 수 있는 사업방식이다. 산업자원부가 2002년 말 펴낸 프랜차이즈총람 자료에 따르면 국내 프랜차이즈 본부(본사) 수는 약 1천6백개, 가맹점 수는 약 12만개에 달한다. 본부당 가맹점 수가 약 75개에 불과하다. 본부는 너무 많고 가맹점 수는 적은 편이다. 얼굴만 크고 몸집은 빈약한 영양실조 상태의 유아를 연상시키는 구조다. 이를 프랜차이즈 선진국인 일본과 비교하면 차이점이 뚜렷이 드러난다. 일본의 경우 본 부수는 1천48개에 불과하지만 가맹점 수는 26만여개에 달한다. 단위본부당 2백49개의 가맹점을 거느린다는 계산이다. 본부당 외형이 일본의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본부 임직원과 가맹점 대표, 종업원을 포함한 종사자 수는 총 56만6천명. 이들이 창출하는 총 매출액은 41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7% 안팎을 차지한다. 그러나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고용인구 6백만명중 9.4%를 차지, 결코 작지 않다. 특히 98년 외환위기 이후 5년간 9백여개의 본부가 새로 생겨 25만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과 GDP 창출 면에서 경제에 무시할 수 없는 기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어차피 제조업은 해외로 발길을 돌리고 있다. 우리나라의 기업환경을 감안하면 제조업의 해외 탈출은 막을 수 없는 대세다. 정치 행정 권력이 한 치 양보없이 으르렁거리며 기업을 희생양으로 폭압하는 상황이 상당기간 지속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래 생존대안은 자연스레 프랜차이즈로 귀결된다. 프랜차이즈로 먹고 살아야 할 시대가 눈앞에 성큼 다가온 것이다. 정부는 청년 실업 해소책의 하나로 청년 창업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한경은 중소기업청과 함께 지난해부터 청년 창업을 지원하는 청소년 비즈스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40,50대 실업자들과 주부들의 경우 지방자치단체나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과 교육이 부족해 전적으로 개인 역량에 맡겨져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자영업자는 외환위기 이후 꾸준히 늘어 2002년 10월 6백43만명으로 정점에 달했다. 그러나 최근 6백만명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지난해 월드컵 이후 불황이 깊어지면서 생계형 창업자 40만명이 올들어 사업을 접은 것이다. 사회안전망이 취약해 직장을 그만둔 실직자들이 자의반 타의반으로 창업시장으로 밀려들지만 사업 실패로 퇴출되는 사람도 신규 창업자에 육박한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신뢰도 높은 프랜차이즈 본사 육성이 초미의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경희 한국창업전략연구소장은 "사회 불안을 야기하는 청년실업과 사오정실업 등 고실업 문제를 해결하려면 프랜차이즈산업을 육성하는 게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한경이 한국프랜차이즈협회 대한상의와 손잡고 가맹본사와 가맹점을 아우르는 국내 최고 권위의 프랜차이즈 대상을 시상하게 된 것도 이같은 사회ㆍ경제적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윤홍근 한국프랜차이즈협회장은 "지금과 같은 고실업시대에 한국프랜차이즈대상 수상업체를 선정해 시상하는 것은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 나아가 예비 창업자들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주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창동 유통전문기자 cd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