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 등 6개국대표단이 21∼22일 제2차 북핵 실무그룹회의에서 "6자회담의 최종 목표는 핵폐기"라는 데 합의한 것은 북핵문제에 대한 입장이 보다 구체화됐다는 점에서 일부 진전이라는 평가다. 지난 2월 24∼28일 제2차 6자회담에서는 이와 관련해 의견 접근조차 못했고, 지난달 12∼14일 제1차 실무그룹회의에서는 "한반도 비핵화를 검증을 통해 투명하게달성해 나간다는데 참가국간 공감대 형성한다"는 정도에 그쳤었기 때문이다. 1차 실무그룹회의 결과, 핵폐기에 대한 6개국의 입장이 추상적이었다면 2차 실무그룹회의에서는 보다 분명하고 명확하게 바뀌었다는 얘기다. 또 북한을 포함한 6개국이 이번 실무그룹회의에서 "핵폐기의 첫 단계로서 검증을 수반한 동결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가 본 회담에서 계속 이뤄져야 한다"는 데 의견 일치를 본 것도 주목할 만한 대목이다. 최대 쟁점인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방식의 핵폐기)와북한의 HEU(고농축우라늄) 핵프로그램 보유 여부에 대해 미국과 북한의 의견이 팽팽히 맞선 상황에서 돌파구 격인 `핵동결 대 상응조치(보상)' 논의가 상당히 이뤄졌음을 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촉진자' 역을 자임하고 있는 한국측은 북한이 `CVID' 원칙을 수용하는 대신, 한.중.러 등 일부 참가국이 중유를 포함한 대북 에너지 및 경제 지원 방안을 제시했으며 일본측도 동참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부분에 대해 북한도 전향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NHK는 일본측 회담 관계자의 설명을 바탕으로 22일 "북한이 실무그룹회의 첫날 회의에서 에너지 지원 등 보상조치를 한국과 일본, 그리고 미국이 확약하는 것을 조건으로 핵포기를 향한 동결의 범위와 기간, 대상이 되는 핵시설, 검증조치 등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할 용의가 있음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이 보도가 사실이라면, 미국이 직접적인 지원을 하지 않더라도 보상조치를 확약한다면 핵폐기를 향한 동결 조치에 나설 수 있다는 북한의 의지 표명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회담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이와 관련, 미국은 지난 2차 6자회담에서 "북한의 핵폐기를 전제로 한 핵동결시한국.중국.러시아의 에너지 지원을 지지한다"고 밝힌 바 있어, 향후 어떤 입장을 취할 지 주목된다. 아울러 지난 1차 실무그룹회의에서 "핵동결의 주요 요소로서 대상, 검증, 기간,시점이 있음을 언급하면서도, `CVID'가 전제된 상황에서 동결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진행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힌 북한이 이번에는 아무런 전제조건도 달지 않은 점은눈여겨볼 만 하다. 이는 `CVID'를 전제하고도 핵동결에 나설 수 있다는 의지 표명이라고도 해석할수 있어 북한의 태도 변화로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2차 실무그룹회의에서 그간 쟁점이 돼 온 `CVID'와 북한의 HEU 핵프로그램 보유에 대해 미국과 북한이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6개국의"6자회담의 최종목표는 핵폐기" 합의는 언제든지 엇나갈 수 있는 미봉책일 수밖에없다는 지적이 많다. (베이징=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