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의 경제위기는 "신경제"로 불리는 미국의 10년 경기호황의 거품이 꺼지면서 촉발됐다.
미국은 1999년 6월부터 여섯 차레에 걸쳐 금리를 인상,연 4.75%였던 연방기준금리를 6.5%로 올렸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인터넷 버블을 터뜨렸고,1999년 85%가 넘는 상승률(전년대비)을 기록했던 미국의 나스닥 주가가 2000년에는 39% 폭락했다.
국제유가도 부담이었다.
두바이유 가격은 1999년 17.2달러(연평균)에서 2000년 26.18달러로 치솟았다.
한국의 국내총생산은 세계경제가 괜찮았던 2000년 1분기 12.6%였으나 4분기에는 4.6%로 급락했다.
수출증가율도 1분기 29.8%에서 4분기 6.6%로 떨어졌다.
내수소비(도소매판매)는 2.3%로 증가율이 둔화됐고 설비투자 역시 11월(마이너스 0.9%)과 12월(마이너스 2.7%)에는 감소세로 반전했다.
건설수주도 그해 10월 마이너스 16.8%를 기록했다.
한편 기업들은 풍부한 시중자금 유동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중견대기업들을 중심으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양극화 현상"이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같은 총체적인 불안이 쌓이면서 종합주가지수는 1999년말 1,028.1에서 2000년말 504.6으로 반토막이 나고 말았다.
김대중 정부는 대외부문의 충격과 일부 부실기업들의 자금난으로 인해 터져나온 경제위기를 해소하는 방안으로 2001년 "건설투자 활성화"와 "신용카드 사용 촉진책"을 본격 추진했다.
이미 IMF졸업을 선언한 상황에서 구조조정으로 정면돌파하기 보다는 인기영합적 정책을 폈다.
이해 4월의 총선도 그같은 정책을 부채질했다.
결국 신축 주택을 구입할 경우 양도소득세를 2002년말까지 면제해주고 부동산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해 부동산투자회사(REITs)와 기업구조조정부동산투자회사 등에 대한 세제지원을 강화했다.
임대주택 20만호 건설과 서민층 전월세 대책 등도 나왔다.
신용카드 복권제 등 카드활성화 정책은 소비자들에게 미래의 소비를 앞당겨 쓰도록 권유하는 것이었다.
여기에다 승용차 특소세 한시적 인하조치(2001년11월)등 세금정책까지 동원돼 내수소비를 부추겼다.
그 결과 2002년에는 경제성장률이 6.3%(2002년 3.1%)로 높아졌으나 무리한 내수부양책은 결국 신용불량자 양산과 장기 소비침체를 초래하고 말았다.
역시 대증처방과 서민보호를 명분으로 내건 인기영합적 경제운영이 문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