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은 18일 서울 세종로 정부종합청사 별관 브리핑룸에서 내외신 정례 기자회견을 갖고 주한미군의 이라크 차출, 북핵문제, 고이즈미 일본총리 방북 등 현안에 대해 설명했다. 다음은 반 장관과 가진 회견 일문일답. -- 주한미군의 이라크 차출 결정과 관련, 한.미 당국의 협의과정을 설명해달라. ▲ 이라크 상황이 급박하게 변화하면서 미국 정부가 급히 주한미군의 차출을 지난 14일 비공식 외교채널을 통해 요청했고 17일에는 미국 NSC의 스티브 해들리 부보좌관이 배경을 설명하고 차출 의지를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에 우리 정부는 주말에 미 정부와 협의했고 정부 부처간에도 긴밀히 협의했다. 주한미군 차출시기는 여러가지 훈련과 준비단계 거쳐 최소 2∼3개월 걸릴 것으로 본다. -- 주한미군 이라크 차출이 향후 주한미군 감축으로 이어지나. ▲ 지난 18개월간 미 정부는 해외주둔 미군의 재배치문제를 협의해왔고 이 협의 과정에 일본, 독일, 한국 주둔 미군도 포함된다. 현재까지 차출되는 주한미군이 감군으로 이어질 지 여부는 결정된 바 없다. -- 주한미군 차출이 한국의 추가파병 지연과 연관있나. ▲ 결론적으로 말하면 근거없는 추측이다. 한국의 추가파병은 국제적 약속이다. 그러나 아직 추가파병이 이뤄지지 않은 것은 군사적, 기술적 협의과정에서 시간이 걸리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파병 원칙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어젯밤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부시 대통령간 전화회담에서도이러한 점이 재확인됐다. -- 정부가 한.미 협의과정에서 주한미군 이라크 차출후 한국으로의 복귀를 요청했나. ▲ 주한미군 차출병력이 임무를 마친 후 한국으로 재배치될 지는 양국간에 협의하지 않았다. 현재로선 가부를 말하기 어렵다. 향후 한미 외교군사당국간 협의를 거쳐야 한다. -- 주한미군의 이라크 차출이 미국의 해외주둔미군재배치 계획에 따른 것이라면 용산기지와 미 2사단의 이전의 경우 이전 비용을 미국이 내야되는 것 아닌가. ▲ 용산기지 이전은 우리 정부가 미 정부에게 반환요청을 해 이뤄진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거기에 상응하는 경비를 부담하는 것이다. 그리고 미 2사단 재배치 문제는 SOFA(주둔군지위협정)에 따라 우리 정부가 일부 토지를 부담하고 나머지 이전 경비는 미 정부에서 부담하게 되는 것이다. -- 주한미군 이라크 차출후 전력공백은 어떻게 보강할 예정인가. ▲ 원칙적인 선에서 말한다면 미국 정부는 향후 3년간 110억달러의 군사전력강화 비용을 지출할 예정이고 여기에는 미사일 배치, 해.공군 전력강화, 전폭기 증강배치 등이 필요하다. 국방부 설명에 의하면 주한미군 3천600명 1개여단이 차출돼도 전력에 큰 차질은 없다고 한다. -- 긴급안보장관회의 일정은 ▲ 금주중에 안보관계 장관회의 개최될 것으로 안다. 이미 정부는 주한미군 차출에 대해서는 동의한 상태여서 그에 따른 후속조치와 한반도에서의 전력공백을 보완하기 위한 군사, 외교적 조치에 대해 심도있는 협의가 이뤄질 것이다. -- 고이즈미 일본 총리의 방북을 어떻게 생각하나. ▲ 고이즈미 총리가 북한을 방문해 일본인 납치문제 포함해 일-북간 현안 협의를 갖게 되는 것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평화질서와 안보유지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우리 정부는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의 제반 현안을 해결하고 동북아의 평화 안정을 위해서는 일본을 포함한 한반도 주변국들이 북한과 관계를 정상화해 북한을 개방사회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도 본다. -- 제2차 북핵실무그룹회의는 언제 열리나. ▲ 정부는 지난 2월말 2차 6자회담 합의대로 오는 6월말 이전에 3차 6자회담을 개최하고 그 이전에 한 차례 더 실무그룹회의 개최를 희망한다. 제2차 북핵실무그룹회의 일정은 조속한 시일내에 외교경로를 통해 확정될 것이다. (서울=연합뉴스) 추승호.인교준 기자 kjih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