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反기업정서 위험수위] '반기업정서 왜 나오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인들은 반기업 정서가 이처럼 심화되고 있는 원인을 무엇보다 정치권의 인기 영합주의에서 찾고 있다.
재계의 한 관계자는 응답자들이 기업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는 이유로 '정경유착'을 내세운데 대해 "정경유착은 급격하게 산업화가 이뤄지던 과거의 정치ㆍ사회환경이 종합적으로 만들어낸 산물"이라며 "그런데도 정부와 정치권이 필요할 때마다 '개혁'이라는 이름으로 기업만 뭇매질한 결과 국민들 뇌리에 '기업은 원래 그런 조직'이란 생각이 자리잡게 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족벌경영 문제에 대해서도 "미국의 대표기업들로 구성된 'S&P500' 기업중 33%가 오너 기업이지만 이들에 반감을 갖는 미국인은 많지 않다"며 "'누가 경영을 하느냐'의 문제는 '누가 할 때 돈을 더 벌 수 있느냐'를 기준으로 주주가 판단할 문제일 뿐 옳고 그름의 문제는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전주성 이화여대 교수는 "기업경영이 투명해지면서 오히려 반기업 정서가 높아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은밀하게 정경유착이 이뤄지던 과거에는 일반 국민이 기업의 어두운 부분을 몰랐지만 최근에는 기업활동이 '있는 그대로' 공개되면서 과도기적으로 생기는 문제라는 것이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반기업 정서의 최대 원인이 정치자금 차떼기 사건과 같은 정경유착에 있다는 시각에 대해 "기업들의 잘못을 들춰내 때려잡는다고 해서 국민들에게 큰 인기를 끌지는 몰라도 기업인의 경영 의욕을 꺾는다는 생각도 함께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가 침체의 늪을 헤매고 있는 시점에서 정치권은 이념 논쟁만 벌이고 있다"며 "정치권은 이념 논쟁 대신 반기업 정서를 어떻게 없앨지부터 논쟁을 벌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기업 정서와 부자에 대한 반감을 확산시키는데 TV 드라마와 영화 등 대중 매체도 한몫 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말 국내 TV 드라마를 분석한 YMCA는 "드라마가 부자와 가난한 자의 부정적인 측면만 보여줘 이들에 대한 편견과 왜곡된 고정관념을 고착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계의 요구로 일부 수정되기는 했지만 오랜 기간 기업을 부정적으로 기술한 중ㆍ고교 교과서도 반기업 정서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지난해까지 교과서에는 '기업은 이윤을 근로자와 형평성 있게 나누고 이윤의 일부를 사회에 환원하는데 앞장서야 한다'는 등의 내용이 실려 있었다.
여기에 형평과 분배를 중시하는 일부 교사들의 교육도 문제라는게 재계의 주장이다.
오문석 LG경제연구원 상무는 "한국이 경제대국으로 성장하는데 기업이 큰 역할을 했음에도 정경유착에 가려져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있다"며 "국민소득 2만달러 시대에 들어가려면 기업활동을 제대로 이해하고 기업과 기업인이 제대로 뛸 수 있도록 국민들이 힘을 북돋워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창재 기자 yooc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