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정책과 금융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재정경제부 산하 기관들의 정보 공개가 활성화될 전망이다. 재경부는 20일 소비자보호원, 기술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조폐공사,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주택금융공사, 신용보증기금 등 9개 산하 기관에 대해대(對) 국민 정보 공개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다음달 중 실태조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 기관의 정보 공개는 작년 말 국민의 `알 권리' 신장과 국정 운영의 투명성확보를 위해 더욱 강화하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지시에 따른 것으로 이해관계자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민이 필요한 내용을 모두 공개하도록 돼 있다. 재경부는 정부의 정보 공개 강화 방침 이후 처음 실시되는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산하 기관들이 업무 내용별로 공개 가능 여부와 정기적인 정보 공개 일정을 정해놓고 있는 지 등을 파악해 정보 공개의 문제점이 드러나면 개선한다는 구상이다. 이에 따라 정부 방침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활성화되지 못했던 공적 자금 관리와중소 및 벤처 기업 신용보증, 화폐 발행, 소비자 보호, 서민 주택자금 지원 등에 관한 재경부 산하 기관들의 정보 공개가 확대돼 국민의 알권리가 신장될 지 주목된다. 정보 공개는 인터넷이나 직접 방문을 통해 원하는 업무 내용의 공개를 일정 양식에 의해 요청하면 된다. 재경부는 이와 함께 산하 기관 정보 공개의 문제점 파악과 개선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전문성을 살리기 위해 문헌정보학 교수 1~2명을 정보공개심의회 위원으로 추가 위촉하기로 하고 후보자 선정에 나섰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기자 dae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