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은 8일 이라크 내전 상황이악화돼 `제2의 전쟁'으로 변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 자이툰부대의 파병문제를 놓고 논란을 벌였다. 한나라당과 열린우리당은 추가파병 원칙을 유지하면서 파병부대 및 교민의 안전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은 추가파병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주장, 1주일 앞으로 다가온 17대 총선의 쟁점으로 부상할 조짐을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민주노총 등 351개 시민단체로 구성된 이라크 파병반대 비상국민행동도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이라크 파병에 찬성했던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낙선운동에 돌입, 이라크 문제에 불을 댕길 방침을 분명히 했다. 한나라당 박근혜(朴槿惠) 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이라크 파병은 국회를 통과해결정된 것으로 파병장소를 옮기는 문제만 남았다"며 "근본적인 문제를 이래라 저래라 할 순 없다"고 말했다. 한선교(韓善敎) 대변인은 논평에서 "파병예정지의 치안사정과 주둔여건에 대한철저한 조사와 대비가 필요하다"며 "정부는 교민 안전뿐 아니라 파병장병 안전을 위한 대책을 철저히 강구해 국민의 불안감을 불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최창환(崔彰桓) 부대변인은 "이라크의 상황이 악화돼 무엇보다 파병군의 안정을 보장할 수 없어 국민들의 걱정과 불안이 커지고 있다"며 "정부당국은파병군과 교민의 안전과 보호대책을 강구해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도록 해야한다"고말했다. 최 부대변인은 이어 "최근의 이라크 사태가 국군의 파병방침을 변경할 정도는아니다"며 "현재 거론되고 있는 파병지역의 선정과 시기문제 등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여유를 갖고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이라크 추가파병 계획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것을 촉구하고 이를 17대총선 공약으로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추미애(秋美愛) 선대위원장은 보도자료를 통해 "진정한 국익을 위해, 우리 젊은이들의 소중한 생명을 위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한미관계의 장래를 위해서도이라크 추가 파병문제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며 "특히 이번 파병으로 우리 국민이 피할 수 없는 테러위험에 노출된 점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성민(張誠珉) 선거기획단장도 기자간담회를 갖고 "파병을 원점에서 재검토할것을 강력히 요구한다"면서 "만약 파병을 하더라도 유엔이 평화유지군 성격으로 파병을 요청해오면 그때 유엔 깃발 아래 평화유지군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노동당 김종철(金鍾哲) 선대위 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지금같은 전면적인내전 상태에서 군대를 보내면 희생자가 속출할뿐만 아니라 스페인 테러사건에서 보듯이 우리 국민이 테러위험에 직접 노출된다"며 "17대 국회에 들어가면 파병철회 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비상국민행동측도 "이라크가 제2의 전쟁 양상으로 치닫고 있어 한국군이 어디에주둔하든 이라크 시민과 한국인들에게 재앙의 불씨가 될 것"이라며 이라크 파병철회를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맹찬형 전승현 강영두기자 mangel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