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들어 물가가 급등하면서 7월로 예상됐던 담뱃값 인상이 연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당초 예정대로 정부가 담뱃값을 인상할 경우 올해 500원, 내년 500원 등두 차례에 걸쳐 1천원을 올리는 방안이 유력하게 떠오르고 있다. 4일 재정경제부와 보건복지부 등 담배 정책 관계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올 7월부터 담뱃값을 500원 올리기로 작년 11월에 결정했으나 올 들어 유가와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물가가 급등하자 재경부를 중심으로 담뱃값 인상 연기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재경부 관계자는 "정부는 당초 올해 물가가 3%선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으나 유가와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3.3%로 상향 조정했다"고 지적하고"이 같은 상황에서 물가에 영향이 큰 담뱃값 인상을 강행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라고 문제를 제기했다. 재경부의 다른 관계자도 "물가가 많이 오르면 국민의 실질 소득이 줄게 되고 이는 임금 상승 압력으로 이어져 경제 운용에 큰 짐이 될 수밖에 없는 만큼 정부가 가격 결정력을 갖고 있는 부문의 물가 상승을 최대한 억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국민 건강을 도모하고 건강증진기금 재원 확보를 위해 담뱃값 인상을 줄기차게 요구하고 있는 보건복지부 등 일부 부처는 담뱃값 인상 연기에 동의하지 않을 것으로 보여 담뱃값을 둘러싼 부처간 이견 조율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재경부와 보건복지부, 행정자치부 등 정부 각 부처는 담뱃값을 인상할 경우 얼마나 올릴 것인가에 대해 합의점을 찾지못하고 있으나 첫 해에 500원, 다음 해에 500원 등 2차례에 걸쳐 1천원을 인상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전해졌다. 정부는 담뱃갑을 500원을 올리면 2조원, 1천원을 올릴 경우에는 3조∼4조원 정도의 추가 수입이 생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부는 모두 32종의 담배 중 판매가격이 1천200원 이상인 31종은 값을 올릴 계획이지만 영세 서민 애연가들이 즐기는 '솔'(200원)은 올리지 않을 방침이다. 정부는 담뱃값 인상으로 확보되는 재원의 절반은 건강기금으로, 나머지 절반은지방 재정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연합뉴스) 김종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