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를 내리지 않고 물가를 안정시키면서 유로권 경제를 살리는데 가장 중요한 과제인 가계소비 확대를 통한 내수 진작 방안을 찾지 못해 고심하고 있다고 25일 독일 언론이 보도했다. ECB 이사를 겸하고 있는 에른스트 벨테케 독일 분데스방크 총재는 "중앙은행은 민간소비를 촉진할 수단을 별로 갖고 있지 않다"면서 중앙은행 입장에선 "물가안정에 힘입은 구매력 증가로 소비가 늘어나기를 기대한다"고 밝혓다. 벨테케 총재는 "소비자들이 돈을 쓸 것인지 또는 저축할 것인지 여부를 중앙은행 금리에 연계시켜 결정하리라고는 상상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툼펠-구게렐 ECB이사는 민간 소비 정체가 가장 중요한 우려 사항이라면서 우리가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물가안정이라고 말했다. 이는 장-클로드 트리셰 ECB 총재가 지난 24일자 독일 경제지 한델스 블라트와의 대담에서 내수 침체는 높은 실업률과 근본적 개혁 부진, 복지비 삭감과 물가상승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며 중앙은행의 물가안정 기능을 강조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ECB는 현재 유로권의 물가가 안정돼 있으나 금리를 더 내릴 경우 물가에 영향을 줄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들이 발언은 ECB가 내달 1일 이사회에서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없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트리셰 총재가 "내수가 되살아나지 않을 경우 성장전망을 다시 할 수밖에 없다"고 밝힐 정도로 내수 부진으로 인한 경기회복 둔화가 심각한 상황이라는데 문제가 있다. 더욱이 최근 다소 안정되기는 했으나 유로화가 언제 다시 상승할 지 모르는 상황인데다 석유가와 각종 원자재 값이 폭등하고 있어 금리를 내리라는 민간 업계와 회원국 정부들의 요구는 점차 더 거세질 전망이다. 이미 사상 최저 수준인 금리를 내릴 경우 물가가 오르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줄 것인데다 금리인하를 통한 경기 부양 효과도 기대 만큼 크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 있어 ECB로선 어려운 처지다. 로이드 TSB의 평가로는 금리를 1% 낮출 경우 미국은 경제성장률이 0.6% 더 높아지는 반면 유럽은 0.3% 추가 성장하는데 불과하다. (베를린=연합뉴스) 최병국 특파원 choib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