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16일 고 건(高 建) 국무총리 등 관계 국무위원들이 출석한 가운데 정치분야 대정부질문을 갖고 관권선거 문제와 검찰 불법정치자금 수사의 편파성 여부를 놓고 공방을 벌였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의원들은 각료와 청와대 비서진의 총선 `징발' 등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의 `총선 올인' 전략을 강하게 성토하며, 검찰의 대선자금과 경선자금 수사가 야당인 한나라당에 집중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16개 시.도지사 가운데 한나라당 소속이 11명,민주당 소속이 3명에 달하는 등 야당 소속 단체장들이 압도적으로 많아 역관권선거가 우려된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한나라당 심재철(沈在哲) 의원은 "선거를 공정하게 관리해야 할 대통령이 지지세력을 선동하고 `친노세력'과 `반노세력'의 대립을 부추기는 최악의 `감정선거'를조장하고 있다"면서 "대통령 사돈 민경찬씨 게이트의 경우 검찰마저 (진상을) 덮을경우 국정조사와 특검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박종희(朴鍾熙) 의원도 "검찰이 야당 경선자금까지 모두 뒤지면서 노무현 캠프쪽은 수사를 마친 것도 감추고 있다"면서 "한화가 대한생명을 헐값에 인수하는 과정에서 권력중심부에 대한 극심한 로비가 이뤄졌고, 당시 노무현 후보도 로비대상이었는데 이 때문에 (검찰이) 수사를 꺼려왔던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정의화(鄭義和) 의원은 `국가대개조'를 위한 제언이라며 "선거망국론은 이미 우려의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면서 "17대 대통령부터 임기를 4년으로 바꾸고, 17대 국회의원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며, 지방선거의 임기를 2년 늘리면 2007년 12월에 대선과 총선, 지방선거를 한꺼번에 치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또 "졸속입법과 급진적 개혁입법에 따른 국가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국가의 미래와 존립에 관계되는 중요한 법은 상원과 하원 양원에서 걸러주는 양원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이윤수(李允洙) 의원은 "대통령은 총선승리를 위한 선거개입 발언을 계속하고 있고, 변화의 흐름에 역행하는 시민단체의 모습은 국민의 판단을 흐리게 하고 있다"며 "시민단체를 가장한 특정 세력 지지단체들의 불법적인 선거운동을 철저히 밝혀내야 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김경천(金敬天) 의원도 "대통령의 일련의 발언에 대해 중앙선관위가 대통령에게 공명선거 협조를 요청한 것은 사실상 대통령의 선거개입을 인정한 것"이라며 "총리는 공명선거 정착을 위해 정치적 발언을 자제할 것을 대통령에게 건의해야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열린우리당 이호웅(李浩雄) 의원은 "현재 16개 시.도지사 중 한나라당 소속이 11명, 민주당 소속이 3명이고, 232개 기초자치단체장 중에도 한나라당 소속이140명, 민주당 소속이 44명이어서 역관권선거가 우려된다"고 반박했다. 국회는 17일엔 통일.외교.안보, 18일 경제, 19일 사회.문화분야에 대해 대정부질문을 벌인다. (서울=연합뉴스) 맹찬형기자 mangel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