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헌재 전 재정경제부 장관이 10일 노무현 정부의 2기 경제팀 수장으로 임명됨에 따라 '이헌재 경제팀'이 그려갈 경제 운용방향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외환위기 시절 초대 금융감독위원장으로 과감한 구조조정을 밀어붙였던 이 부총리가 잔뜩 움츠러들어 있는 내수경기에도 불구하고 과거의 '구조조정식 경제요법'을 되풀이할지,경기 회복과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추진해온 김진표 경제팀의 노선을 이어갈지가 주목된다. 현재로서는 이헌재 경제팀 역시 투자 및 소비 활성화를 통한 경기 회복에 초점을 맞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경기 회복을 꾀하지 않고서는 청년실업과 신용불량자 문제 등 주요 경제 현안에 대한 해결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 부총리는 올 초 일본 도쿄에서 열린 고이즈미 준이치로 총리 초청 경제포럼에서 "시장이 붕괴되는 상황에서 구조개혁은 불가능하고,따라서 시장이 제 기능을 하도록 거시경제를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당분간은 LG카드 사태 여파와 환율 급등락 등으로 불안한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주력할 것이라는 관측이 적지 않다. 청와대가 그를 부총리로 낙점한 데는 금융통으로 금융시장 불안을 안정시킬 최적임자라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때 일각에서 금융감독위원장 교체 및 윤증현 아시아개발은행(ADB) 이사 후임 내정설이 흘러나왔던 점도 이런 맥락에서다. 금융시장 안정에 대한 청와대의 의지가 그만큼 강력하다는 후문이다. 이와 함께 이헌재 경제팀은 주요 경제정책에 대해 현재의 김진표 경제팀보다 훨씬 강한 목소리를 내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 부총리가 청와대의 제의를 수락하면서 경제정책 수립 및 운용과 관련,청와대 간섭을 최소화하는 대신 '최대한의 자율권'을 보장받았다는 소문이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이 부총리의 경제노선이 노무현 정부와 다소 어긋나는 데 따른 충돌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없지 않다. 지난해 이 전 장관은 한 강연에서 "정부의 친노동계 성향이 시장 불안을 증폭시킨다"며 직격탄을 날린 바 있다. 재경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이 부총리의 스타일로 볼 때 행정부 내 경제팀의 역할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도 "오는 4월 총선을 앞두고 있어 선거를 의식하지 않는 경제정책을 펼수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