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교통부가 일부 지역에 경비행장을 건설하려던 계획을 1년여만에 사실상 백지화하는 등 공항정책이 중심을 잃고 흔들리고 있다. 정치논리에 밀려 무더기로 건설된 지방공항도 잇단 도로망 확충과 고속철도 개통으로 이용객이 급감하면서 매년 적자에 허덕이는 등 '애물단지'로 전락하고 있다. 정부가 한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고 정책을 추진해온 결과로 지방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계획되던 지방공항이 오히려 경제의 발목을 붙잡는 꼴이 됐다. ◆ 미니공항 백지화 =건설교통부는 지난해 2월 교통개발연구원의 경비행장(미니공항) 개발계획 용역 결과를 토대로 경비행장 건설을 추진키로 했었다. 당시 건교부 관계자는 "교통오지의 항공수요 해소와 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국내선 항공수요 감소 대책의 일환으로 경비행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며 "자치단체 등의 건의가 있을 경우 면밀히 검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건교부는 26일 "고속철도 개통 이후 국내 항공수요 급감과 항공시설이 이미 공급과잉인 상황에서 추가 예산 투자는 부적절하다"며 사업추진 계획을 사실상 백지화시켰다. 미니공항은 길이 1km 전후 활주로에 50∼1백인승 이하 항공기가 운항되는 규모로 지금까지 대전시와 충남 보령시, 울릉도, 경북도 등 10여곳이 직ㆍ간접적으로 미니공항 건설을 건의했었다. ◆ 만성적자에 시달리는 지방공항 =15개 지방공항중 김포ㆍ김해ㆍ제주공항을 제외하고는 모두 만성 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오는 4월 고속철도가 개통되면 대구 부산 등의 항공수요가 급격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돼 적자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예천공항의 경우 중앙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지난해 11월 이후 사실상 기능을 상실했다. 건설중인 일부 공항은 완공시기가 늦춰지고 있다. 올해 완공 예정인 울진공항은 2005년으로, 2005년 완공 예정이던 김제공항은 2006년으로 미뤄졌다. 김후진 기자 j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