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소속 노동자와 지지 학생 등 5만여명이 여론의 비판을 무릅쓰고 화염병 시위라는 불법 폭력투쟁으로 돌아선 배경은 무엇일까. 이에 대해 정부는 현재 민주노총 산하 노조에 걸려 있는 손해배상과 가압류를 '백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노동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 "현재 철도 발전산업 서울지하철 등 공공부문 노조에 2백30억원(민주노총은 4백억원 주장) 상당의 손배ㆍ가압류가 걸려 있다"며 "민주노총으로선 이를 즉각 해제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또 하나는 최근 잇달은 노조 간부의 자살도 민주노총을 강경투쟁 노선으로 내몰고 있다는 지적이다. 선명 투쟁을 내걸은 민주노총 간부들로서는 현장의 이같은 움직임에 동조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이 최근 들어 민주노총의 운동노선에 비판을 가하며, 노동계의 총파업에 엄정 대처할 것을 요구한데 대해서도 노동계는 무척 불만스럽게 생각하고 있다. 일각에선 민주노총의 내부 사정에서 이번 화염병 투쟁의 발단을 찾기도 한다. 내년 1월 말 민주노총 위원장 선거를 앞두고 강경파들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벌이는 계산된 전략이라는 분석이다. 단병호 위원장을 정점으로 하는 현 집행부의 투쟁적 노선에 대해선 조직 내부의 비판이 있어온게 사실이다. 갈수록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현 집행부가 투쟁 선봉에 나섬으로써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으며 내년 위원장 선거까지 국면을 유리하게 이끌어가기 위한 고도의 전술이라는 것이다. 이번 화염병 투척 시위도 노동자들의 투쟁동력을 끌어내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해석이 적지 않다. 지난 6일 1차 총파업 때 당초 예상인원 9만명에 크게 못미치는 5만여명이 참가, 파업 열기가 극히 저조했었다. 민주노총은 공식적으로 "화염병 시위를 계획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준비하지도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많은 시민들은 화염병을 수백개씩 만든 점을 들어 사전에 계획된 행동으로 보고 있다. 노동계 내부에서는 이번 화염병 시위가 여론의 지탄을 자초하는 '악수'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윤기설 노동전문기자 upyk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