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주요 통신장비 업체들은 중국 정부가 휴대폰에 대한 수입 규제에 나선다는 소식을 전해듣고 진의 파악에 나서는 등 부산한 움직임을 보였다. 국내 업체들은 중국 정부의 이 같은 방침이 주문자상표부착(OEM) 방식이나 주문자제조설계(ODM) 방식으로 휴대폰을 수출해온 외국 업체를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현재 해외 공장에서 생산한 완제품이 중국으로 수입되는 휴대폰은 어느 정도 통제가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OEM이나 ODM 방식의 경우 중국 업체의 브랜드로 제품이 판매되지만 속 내용을 들여다 보면 해외에서 제품개발,부품조달,조립이 모두 이뤄지기 때문에 사실상 완제품 수입과 다를 바 없다고 중국 정부가 판단했다는 것이다. 한 휴대폰 업체 관계자는 "정확한 수입 규제 방안이 발표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 업체에 어느 정도 피해를 줄지 판단하기 어렵지만 앞으로 규제를 대폭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드러낸 만큼 OEM이나 ODM 업체들이 우선 피해를 입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국내 휴대폰 업체의 대(對)중국 수출액은 총 23억8천만달러로 전체 휴대폰 수출액(1백16억달러)의 20.4%를 차지했다. 올해도 30억달러어치 이상을 중국 시장에 내다 팔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나 중국 정부의 규제가 현실화하면 예상보다 실적이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따라 국내 업체들은 중국 현지 업체와 제휴를 통한 반제품 수출로 전환하거나 현지 생산공장을 세우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또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동남아 유럽 북중미 남미 등 신흥시장 개척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삼성전자는 중국 현지에 CDMA 및 유럽형 GSM 방식 휴대폰 생산공장이 있기 때문에 현지 공장의 생산품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는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일부 GSM 휴대폰이 완제품 형태로 수출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LG전자는 CDMA 휴대폰의 경우 현지 공장에서 생산하고 있으나 GSM 휴대폰은 ODM 방식으로 공급하고 있어 중국 정부 정책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전략이다. 팬택은 ODM 물량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고 조만간 가동에 들어가는 현지 공장의 생산능력을 확충,피해를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업계 일각에서는 중국 내 휴대폰 생산기업이 외자기업을 포함해 37개에 이를 정도로 난립해 생산설비 과잉이 우려되고 있어 현지 공장을 설립하더라도 생산쿼터를 할당받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남국 기자 nk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