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송업계의 잇단 파업으로 위기에 처한 물류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려면 대응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삼성경제연구소는 4일 `물류산업의 현황과 과제'라는 보고서를 통해 운송업계파업에 따른 물류대란으로 동북아 물류 중심국가로 자리매김한다는 전략에 차질이빚어지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지난 5월 초 화물연대의 운송 거부로 경제적 피해가 속출한데 이어 6월28일 철도노조 총파업, 8월21일 화물연대의 2차 파업이 발생하면서 부산항, 광양항 등 주요 수출입항의 대외 신인도가 손상됐다고 지적했다. 그 결과 올 1월∼7월 부산항의 컨테이너 처리실적이 중국 상하이항에 추월당하는 상황이 초래됐다고 보고서는 말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국가 물류비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2.8%로 미국, 일본에 비해 과다한 편이며 기업 물류비도 총매출액의 11.1%(2001년 기준)로 매출 1천원당 111원을 물류비로 지출할 정도로 경쟁력 약화 요인으로 작용하고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 사회간접자본 및 물류기반시설의 경쟁력이 세계 20위권에 머물 정도로 물류 인프라의 경쟁력이 취약하고 물류 중심국가로의 기본환경이 낙후돼있으며 화물 운송체계가 취약하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특히 다단계 주선, 지입제 등 운송업계의 구조가 전근대적 수준에 머물고 있는것이 화물연대 파업사태의 근본 원인이라면서 직접적인 규제보다는 정보의 비대칭성해소나 주선업체의 대형화를 통한 간접적인 해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또 투자환경과 인프라, 운송업계 구조, 물류체계 개선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는 한편 조세혜택 등 유인책으로 선진 물류기업을 유치해 세계적인 물류클러스터의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권정상기자 jusa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