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보증기금에 이어 국책은행인 산업은행도 임금피크제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은행 고위 관계자는 1일 "정년을 채우고 퇴직하는 사람이 없는 사회 전반의분위기를 감안해 정년까지는 고용을 보장하되 일정 연령이 되면 생산성을 감안해 임금을 줄여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며 "노조와 곧 협의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산업은행은 만 58세 정년을 유지하되고 만 55세부터 퇴직 때까지 3년간은 임금을 가장 많이 받는 만 54세 때의 80%, 60%, 40% 정도로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 제도가 도입될 경우 적용 대상은 연 평균 30∼40명에 이를 것으로 은행은 추산하고 있다. 노조는 그러나 상급단체인 금융산업노조와 공동 보조를 맞춰 정년을 오히려 60세까지 늘린 뒤 만 58세 이후부터 적용할 경우 이를 수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실제 시행에 들어가기까지는 적지 않은 마찰이 예상된다. 최대현 노조위원장은 "정년을 연장한 다음에 제도를 도입하면 문제가 다르지만현재의 근로조건 하에서는 절대로 도입할 수 없다"고 말하고 "임금피크제 도입은 사측의 일방적 이야기이며 거의 실현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고 못박았다. 임금 피크제는 신용보증기금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올 상반기에 도입했으며 은행권에서는 기업은행이 지난해부터 `교수제'라는 변형된 형태로 만 55세 이상인 직원을 후선에 배치하고 임금을 매년 줄여가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국내 최대 은행인 국민은행은 지난 4월 임금피크제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으나 노조의 강력한 반대로 최근 도입 방침을 미룬 상태다. (서울=연합뉴스) 노효동기자 rhd@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