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운송업계의 복귀명령에도 불구하고 수송을 거부하고 있는 화물연대 회원 및 비회원의 업무 복귀는 아직 눈에 띄게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이들은 사측의 복귀 요구 시한이 임박하면서 회사나 사무실 등의 근처에삼삼오오 모여 동향을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조만간 사태 `진정' 또는 `장기화' 여부가 판가름날 전망이다. 건설교통부 강영일 육상교통국장은 25일 오후 브리핑에서 "컨테이너 운송회사별로 복귀율을 파악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집계를 내기 힘들다"며 "지난주말 각 업체가 발송한 내용증명이 오늘께 도착하기 때문에 조만간 복귀하는 차주들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국장은 "그동안 자가 대기 형태로 운송을 거부했던 이들이 회사나 사무실 근처에 삼삼오오 모여 사태의 추이를 파악하고 있는 모습이 파업 직후와 달리 많이 목격되고 있으나 이들이 복귀 의사가 있는지는 현재로선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집단 운송거부에 나선 화물연대 소속 벌크시멘트 트레일러(BCT) 차주가운데 19%는 이날 복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시멘트업계에 따르면 복귀 요구 시한인 이날 오전 8시까지 운송작업에 참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화물연대 가입차주가 전체 1천166명 중 221명(19%)이라는 것. 운송업체들은 이들에 대해 약속대로 운송계약을 유지하고 민.형사상 손해배상소송에서 제외하되 복귀 의사가 없는 차주에 대해서는 운송계약을 해지하고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방침이다. 따라서 이번 집단 운송거부에 참여한 화물연대 소속 회원과 비회원들은 노정 또는 노사 협상이 어떻게 진행될지, 화물연대 지도부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등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서로 눈치를 보는 상황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정부가 `화물연대와의 대화는 없으며 운송료 협상은 당사자들이 해결할 문제'라는 확고한 입장을 갖고 있고 운송업계도 복귀명령을 내린 상태에서 아직까지는추가 협상 의사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화물차주들의 초반 복귀율이 이번 파업의 대세를 가를 것으로 점쳐진다. (서울=연합뉴스) 강의영기자 keykey@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