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와 컨테이너 업계 대표는 25일 오후 3시부터 협상을 재개키로 했다. 지난 22일 새벽이후 중단됐던 컨테이너 부문 협상이 재개됨에 따라 화물연대의 집단운송 거부사태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됐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이날 오전 브리핑을 갖고 "사태를 조기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시멘트, 컨테이너, 화물차 운송업체에 교섭을 제안했다"며 "그 결과 일단 시멘트를 제외한 운송사업 연합회와 컨테이너 운송업체가 긍정적인 답변을 해와 교섭을 재개키로 했다"고 밝혔다. 재협상은 이날 오후 3시께 부터 서울 서초구 방배동 화물연합회 회관에서 열린다. 화물연대는 이날 협상에서 운송사업 연합회측과는 지입료와 소유권보장, 공제보험 문제를, 컨테이너 운송업체들과는 운임인상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방침이다. 그러나 그동안 화물연대와 업계측이 교섭형태를 놓고 커다란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는 BCT(벌크 시멘트 트레일러) 부문은 현재 협상 일정조차 잡히지 않을 정도로 난항을 겪고 있다. 화물연대는 중앙교섭을 통해 운송료 30% 인상을 요구하고 있는 반면 업계측은 중앙교섭이 아닌 사업체별 협상을 통해 운송료 인상 논의를 하자고 주장하면서 서로 팽팽히 맞서고 있다. 화물연대 관계자는 "현재 시멘트 업계가 교섭을 거부한 상황에서 컨테이너와 운송사측과만 재협상을 벌인다고 해서 당초의 BCT.컨테이너 부문 일괄 타결 입장이 변화한 것은 아니다"며 "컨테이너 부문이 타결될 경우 전면 운송거부를 철회할 지 여부는 내부적으로 더 논의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전준상.이광철 기자 chunjs@yna.co.kr gcmo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