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2010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지원특위(위원장김학원)는 9일 오후 전체회의를 열어 김운용(金雲龍)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부위원장의 동계올림픽 `평창유치 실패 책임' 논란에 대한 진상조사에 착수한다. 특위는 회의에서 이창동(李滄東) 문화관광장관, 공노명(孔魯明) 유치위원장, 집행위원장인 김진선 강원지사, 이연택(李衍澤) 대한올림픽위원회(KOC) 위원장 등 유치활동 관계자들을 출석시켜 유치활동 과정 전반에 대한 보고를 듣고 김 부위원장의행적, 유치단과 김 부원장간 불화설 등을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특위는 또 유치활동 관련자들에 대한 질의를 끝낸뒤 민주당 현역의원이자 특위위원인 김 부위원장도 회의에 참석시켜 소명기회를 줄 예정이다. 정치권 일각에선 진상조사 결과 김 부위원장의 책임론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김 부위원장을 국회에서 제명하거나 공직사퇴를 요구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있어 주목된다. 김학원 위원장은 "김 부위원장이 IOC 위원으로서 유치활동을 했지만 만일 국회의원으로서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했다면 국회 윤리위에 제소하거나 공직사퇴 요구를 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아주 심한 경우 의원직 제명 문제까지 생각해 볼 수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위는 김 부위원장의 `유치방해설'이 사실로 밝혀질 경우 이달말로 종료되는특위활동 시한을 연장하거나 국정조사를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전체회의에선 ▲김 부위원장이 유치활동 과정에서 평창에 불리한 언급을했는지 여부 ▲일부 IOC 위원에게 투표 불참을 권유했는지 여부 ▲부위원장 출마 만류 권유에 대한 김 위원장의 거부 이유 ▲아들 석방을 위한 외교부 압력 행사 여부등이 핵심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원형(李源炯) 의원 등 한나라당 의원들은 "김 부위원장의 유치방해 의혹은 현지에서 함께 유치활동을 벌인 정부 고위당국자들의 증언으로 더욱 증폭되고 있다"면서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출마홍보 금지 권유, 고건(高建) 총리의 출마 만류 사실까지 확인된 점으로 미뤄 김 부위원장이 방해활동을 했던 것이 틀림없다"고 주장할 예정이다. 특히 이원형 의원은 미리 배포한 질의자료에서 "유치위 문건을 보면 투표에 불참한 IOC위원 5명 가운데 3명이 `親김운용계'이며 김운용 부위원장이 이들 3명에게평창을 찍지 말라고 해 3명이 불참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최소한 4인 이상의 IOC위원에게 평창반대 로비를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 전갑길(全甲吉) 의원은 "진상규명이 우선이며 만일 김 부위원장이국익을 훼손했다면 의원직 문제에 대해선 스스로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으며,같은 당 조재환(趙在煥) 의원도 "이 문제를 놓고 사회갈등이 심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김 부위원장이 일방적으로 뒤집어 쓰게 해선 안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재용기자 jj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