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선사들이 14일 부산항을 통한 화물수송계약(부팅)을 사실상 중단했다. 또 화물연대 부산지부 조합원들이 부산대에 집결해 경찰과 대치,화물 파업을 둘러싼 노정(勞政)간 긴장도 높아지고 있다. ▶관련기사 A 면 선사들은 파업이 지속되면서 통상 2주 단위로 이뤄지던 계약시스템이 완전히 무너지자 이날부터 수송계약을 중단했다. 이에 따라 당장 부산항이 정상화되더라도 흐트러진 계약시스템을 복원하는 데는 최소한 한 달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독일 선사인 하파그로이드는 환적물량(목적지 도착 전 다른 항구에서 배를 갈아타는 화물)의 부산항 입하를 중단하라는 지침을 이날 아시아지역 각 지사에 내렸다. 다른 선사들도 부산항의 컨테이너 적재공간이 15%밖에 남지 않았고 광양항 역시 이번 주말이면 여유공간이 바닥날 것으로 예상되자 대부분 신규 계약을 중단했다. 세계 최대 선사인 머스크시랜드는 오는 20일로 예정된 선박의 부산항 기항을 취소했고 중동에서 양탄자 등을 싣고 부산항으로 들어오던 한진해운의 2천7백TEU급 선박은 중국 상하이로 뱃머리를 돌렸다. 파업 엿새째인 이날 물류 대란은 국내 최대 산업단지인 울산과 수도권으로 확산돼 산업계 피해가 5억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추산됐다. 부산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 1천5백여명은 이날 부산대에 모여 특수고용 노동자의 노동기본권 보장 등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며 농성을 벌였다. 경찰은 부산대 주변에 7개 중대 8백여명을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한편 화물연대의 장기 농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경찰력을 교내로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노총은 이날 기자회견을 갖고 화물연대 파업에 공권력을 투입할 경우 전면 투쟁하겠다고 선언했다. 화물연대 울산지부는 부산지부의 총파업에 따라 이날 동조 파업에 들어갔다. 이에 따라 울산과 구미 대구 소재 기업들도 화물 운송이 막히기 시작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화물노조 경인지부와 위·수탁지부 경인내륙컨테이너기지(ICD) 지회도 부산지부 파업에 동참,전면 파업에 돌입함에 따라 경인ICD에서 육로를 통한 부산으로의 컨테이너 수송이 중단됐다. 부산=김태현·의왕=김희영·조일훈·오상헌 기자 hyun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