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파업'이 장기화되면서 중소기업들이 수출차질, 원자재 공급 중단 등으로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중소기업들은 개별기업 차원에서 뚜렷한 대응책을 마련하지못하고 있는 가운데 관련기관 및 단체들도 이들에 대한 대책마련에 무관심하거나 뒤늦게 나서고 있어 타격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해외에 의류공장을 구축하고 있는 세아상역은 "국내에서 베트남 생산기지에 발송하는 원자재가 공급이 막히면서 공장건설에 차질을 빚고있다"며 "바이어와 납기연장을 논의하고 있지만 가격인하 요구로 큰 손실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납기를 맞추기 위해서는 항공으로 운송해야 하지만 중소기업들로서는 비용 부담이 너무 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원단 수출업체 A사는 "납기 지연으로 바이어측에서 납품 단가 인하를 요구하고일부 급한 물량을 항공으로 운송하면서 현재까지 34만달러의 피해를 입었다"며 "수입 원자재 공급이 안돼 현재는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한 상태"라고 말했다. 태평양물산 관계자는 "열차 등 대체 운송수단을 찾아보고 있지만 아직까지 해결책을 찾아내지 못했다"며 "군 차량 지원도 부두내 이동 외에 일반 내륙에 있는 공장에서 항만까지의 컨테이너 수송 지원은 안되고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의 수송 지원도 대기업에만 혜택이 돌아가지 일반 중소기업에까지 혜택이 오겠느냐"면서 "답답한 심정"이라고 토로했다. 이처럼 중소기업들의 피해가 커지고 개별 기업 차원에서는 뚜렷한 대응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소기업청,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등 관련기관 및단체도 피해상황 파악과 대책 마련에 거의 손을 놓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중기청은 이번 사태가 상당히 진행된 14일부터 피해상황 접수와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중기청 관계자는 "정부 차원에서 거시적인 해결을 위해 접근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피해액이 차지하는 부분은 크지도 않은데 업체의 피해 상황을 개별적으로 받아미시적인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별 의미가 없다고 판단해 지난 13일까지는 대응하지않았다"며 "사태가 장기화 조짐을 보임에 따라 14일부터 지방중기청을 통해 개별 기업의 피해 상황을 접수하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는 아직까지 피해접수와 대책마련에 착수하지도 않았다. 기협중앙회 관계자는 "중소기업들은 피해가 크지 않다고 판단해 기업들의 피해상황을 접수하는 등의 대응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희선기자 hisunny@yonhap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