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민간기업의 대이라크 미수금 회수를 위한 방안 마련에 나선다. 재정경제부는 오는 23일 건설교통부, 산업자원부 등 관련 부처 실무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민간기업의 대 이라크 미수금 15억여달러(1조8천억원)의 회수방안을 포함한 이라크전후 복구사업 참여대책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미수금 회수는 당장 구체적인 내용을 만들기보다 주무 부처인 건교부와 산자부가 이라크 정부수립 등 전후 예상되는 상황변화를 봐가며 대책을 수립하도록 할 방침이다. 민간업체들의 미수금은 현대건설이 11억400만달러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삼성물산 1억5천만달러, 삼성건설 3천만달러, 남광토건 2천만달러, 한양건설 1천만달러,한진중공업 400만달러, 두산건설 40만달러 등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들 미수금은 대부분 지난 91년 걸프전 발발후 유엔의 경제제재로 인해 이라크의 채권.채무가 동결되면서 발생한 것들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미국이 이라크전쟁후 세계 각국에 이라크 관련 채권을 탕감하도록 권유하고 있으나 이는 국가채권에 국한된 것으로 보인다"며 "기업들의 미수금은 국제적인 관례에 준해 해결하도록 노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라크가 재정악화로 현찰이 부족하면 석유 등 현물로 미수금을대신하는 등 여러가지 방안이 검토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재경부는 또 이날 회의에서 이라크의 수출금융을 5억달러까지 지원하고 이라크에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신규로 지원하는 등 이라크 전후 복구사업의 기반구축을 위한 부처별 세부방안을 협의한다. (서울=연합뉴스) 김대호 기자 daeh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