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3위 그룹인 SK그룹이 소버린자산운용이라는 유럽계 자본의 주도면밀한 '공격'에 속수무책으로 흔들리면서 이 회사의 정체와 함께 이들을 도와주고 있는 국내 지원팀의 실체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SK가 일시적 경영공백 상태에 빠진 약점을 비집고 절묘한 타이밍에 맞춰 과감히 주식 매집에 나섰다는 점을 감안할 때 국내 사정에 훤한 전문가들의 도움 없이 '단독 실행'을 했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 같은 견해다. 또 SK 지분율을 정확히 14.99%에 맞춤으로써 자신의 신분을 숨긴 채 영향력을 극대화했다는 점도 이러한 분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우선 국내외 투자은행과 증권사,로펌,기업인수합병(M&A)부티크 등의 도움이 절대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역할은 역시 주식매집창구였던 도이치증권이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증권거래법과 상법 및 관련규정에 대한 해석과 함께 SK의 지분구조와 시장동향에 대한 종합분석을 대행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법률자문을 맡은 '리걸 어드바이저(Legal Advisor)'로는 국내 로펌이 주목 대상이다. 그 중에서도 김&장 세종 태평양 등 '5대 메이저'가 유력하다. 업계 관계자는 "공정거래법과 증권거래법 전기통신사업법 등 관련 법률에 대한 총체적 분석을 해줄 수 있을 정도의 서비스 능력을 갖춘 곳은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라고 말했다. 국내 한 로펌의 관계자는 "사건이 불거진 후 크레스트측에서 2∼3건의 법률자문을 요청해온 적이 있다"고 밝혀 도움을 준 사실을 시인했다. 다만 "주식매입 등 전반적인 사안에 대한 법률자문을 '턴키(turn key·일괄수주)'로 받은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M&A 자체가 상당한 보안을 요하는 일이기 때문에 가능한 한 자체 보유한 '인하우스 로이어(in-house lawyer)'를 쓴다는 설명이다. 김&장과 율촌은 최태원 SK㈜ 회장의 형사사건을 맡고 있고 세종은 SK글로벌 채권단의 법률자문을 맡고 있다. 법무법인 태평양의 경우 또 다른 '메가딜(mega deal)'을 진행하고 있어 SK건에 신경쓸 여력이 없었을 것으로 변호사 업계는 보고 있다. 한 M&A부티크 업체 관계자는 "이번 사건이 SK의 자작극이라는 극단적인 얘기까지 나올 정도로 국내 전문가 뺨치는 솜씨임에는 분명하다"며 "이론상으로만 가능했던 재벌기업에 대한 최초의 M&A 시도라는 점에서 상황변화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