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대부분 노사합의를 통해 파국만은 면했다는 점에서 일단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합의내용상 '사측의 패배'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2일 "늦게나마 사태가 해결돼 다행스럽다"면서도 "해고자 복직,불법행위에 대한 가압류 철회 등에 합의한 것은 올해 임단협에서 노조의 불법투쟁에 대해 자칫 책임을 부과하지 못하는 선례가 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또 "기업 내부문제에 외부 노동단체가 지나치게 개입, 장기화.폭력화로 큰 문제가 되는 등 좋지 않은 선례를 남겼다"고 주장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극한적인 노사대립이 마무리돼 다행스럽다"며 "앞으로 대화와 협력을 바탕으로 산업평화와 노사화합을 이뤄 나가길 기대한다"는 원칙적인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개별기업 노사담당자들은 이번 합의 결과가 다른 사업장에 미치게 될 악영향을 우려하는 등 부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부당노동행위와 관련한 경영진의 사법처리 방침과 두산의 편법적인 경영권 승계 의혹 등 회사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등에 업고 노정이 사측을 몰아붙인 결과라고 평가절하하는 분위기다. A기업 노사팀 관계자는 "노사 자율타결이라는 모양새는 갖췄지만 사용자와 노동자간의 합의라기 보다는 노동부와 민노총간의 '담판'이 아니었냐"며 냉소적인 반응을 드러냈다. 노동부 장관이 직접 개입,사측에 상당한 압박을 가하는 등 '절차상 하자'도 향후 노사관계에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긴 것으로 해석했다. 또 다른 기업의 인사팀 관계자는 "결국 노조의 단체행동에 대해 사용자측이 어떠한 법적수단도 강구할 수 없다는 사실상의 '무장해제'로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