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의 취임식(25일)이 임박하면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와 청와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파견 공무원들의 진로에 관가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파견 공무원들은 '그동안 고생했다'는 이유로 희망 보직을 받는 관례가 있는 데다 정권교체기에는 이동 규모마저 커, 각 부처마다 적지 않은 인사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김영용(재정경제부) 배철호(기획예산처) 이우철(금융감독위원회) 이현재(산업자원부) 등 인수위 수석 전문위원들은 민주당에서 일하다가 노 당선자 대선 승리 뒤 인수위로 자리를 옮겼다. 현재 민간기업의 임원에 해당하는 1급(관리관) 대우를 받고 있는 이들은 형식상 소속 부처에 퇴직서를 제출했기 때문에 공무원 신분이 아니다. 이들이 현직으로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은 '1급 보직'을 받는 길밖에 없는데 자리는 매우 한정돼 있다. 게다가 현직 관료들은 이들에게 자리를 빼앗기지 않을까 바짝 긴장하고 있다. 청와대에서 일하고 있는 관료들은 신분상 공무원을 유지하고 있어 직급에 따라 원대복귀하는 데는 절차상 아무런 문제가 없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가 청와대에서 일할 공무원 인원을 가급적 줄인다는 방침이어서 각 부처마다 인력 수급에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예컨대 재경부는 현재 소속 공무원 16명이 청와대에서 일하고 있지만 노무현 정부는 3명 정도만 쓸 예정이다. 나머지 13명은 재경부로 되돌아와야 하지만 자리 내기가 만만치 않은 실정이다. 현재 청와대에 파견나가 있는 공무원은 모두 65명(비서관 5명, 행정관 41명, 6∼9급 실무자 19명)으로 이들 중 상당수가 현직으로 복귀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각 부처에서 직접 인수위로 파견나온 60여명의 현직 공무원들은 상대적으로 느긋한 편이다. 인수위 관계자는 "6개월 이내로 파견근무할 경우 겸직 발령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수위에서 일하는 현직 공무원들은 소속 부처에서의 보직도 갖고 있다"며 "이들이 원대복귀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현승윤 기자 hyuns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