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가 국정 10대 과제에 과학기술 분야를 포함시킨 데 이어 27일부터 시작한 지방 국정 토론회에도 과기부 실장급 간부를 동행토록 함으로써 과학기술계가 새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방향에큰 기대를 걸고 있다. 노 당선자의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이 어느 대통령보다 호의적이라는 점은 둘째치고 당장 기대를 걸게 하는 부분은 지방 과학 육성 부분이다. 당선자의 지방 분권화 방침이 과기부의 중점 추진 과제 가운데 하나인 지방 과학기술 육성 사업과 맞아 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대통령직 인수위측이 과기부에 지방 대학을 중심으로 연구개발(R&D) 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과 국가 R&D 가운데 19.6%를 차지하는 기초연구개발비의 산출내역을 요청한 것도 눈길을 끄는 부분이다. 2007년까지 국가 R&D 예산 가운데 25%까지 끌어올리게될 기초 연구개발비를 지방 대학에 골고루 분배하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과기부 실장급 간부가 노 당선자의 지방 국정 토론회에 동행하고 있는 점도 지방 분권화 방침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그 기반중 하나가 지방 과학기술 육성이될 것이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새정부의 과기정책 방향에 기대를 걸게 하는 부분은 또 있다. 국정 과제중 과학기술과 관련된 어젠다가 얼마전 `과학기술 중심사회 구축'에서`과학기술혁신과 신성장'으로 변경돼 과학기술 분야에 대한 관심도가 떨어진 것 아니냐는 추측도 있었지만 이에 대한 나름의 해명이 최근 나왔다.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에서 과학기술 분야를 담당하는 경제 제 2분과 박기영 위원은 얼마전 한 토론회에서 "여러가지를 포함하다보니 과학기술과 관련한 어젠다가 바뀐 것일 뿐"이라면서 "어젠다 자체가 확정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좋은 아이디어가있으면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또 청와대에 과학기술 수석직을 신설하겠다는 당선자의 공약이 물건너 간것 아니냐는 일부의 지적에 대해 청와대 시스템이 바뀌고 있기 때문에 아직 과기수석직이 무산됐다고 말하기는 이르다면서 정책수석실에 과학기술 분야 담당을 신설하는 방안을 구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인수위측은 이공계 석.박사 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전문 연구요원의대체 복무기간을 현행 5년에서 4년으로 단축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28일 발표했다. 과학기술계가 노 당선자와 인수위측의 발표에 연일 희색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지일우기자 ci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