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추방결정에 따라 북한의 핵활동을 감시하기 위해 파견된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관 2명이 31일 중국 베이징(北京)을 통해북한을 철수한다고 정부 당국자가 30일 밝혔다.

IAEA는 이에 앞서 지난 28일 1명의 사찰관을 우선 철수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IAEA 사찰관의 북한상주는 지난 94년 제네바 기본합의 체결 이후 8년간 지속돼왔다.

북한의 핵시설 봉인제거 및 IAEA 감시카메라 작동불능 조치에 이어 그동안 육안감시 활동을 펼쳤던 사찰관 마저 북한을 떠나게 됨으로써 북한의 핵활동 감시체제는사실상 무력화됐다.

IAEA 사찰관은 지난 27일 북측으로부터 추방을 통보받은 뒤 그동안 사실상의 감시활동을 펼치지 못했으며 이미 영변을 떠나 평양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IAEA 감시카메라 등이 작동불능 상태에 빠진 뒤 그동안 유일한감시는 사찰관의 현장확인 밖에 없었다"면서 "이제 사찰관이 떠나면 북한의 핵시설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정확히 확인할 방법이 없어졌다"고 우려했다.

정부는 이와 관련, 이날 거듭 IAEA 사찰관 추방결정 철회 및 북한의 핵동결 원상회복 조치를 요구했다.

정부는 이와 함께 북한이 전날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시사한 핵비확산조약(NPT) 탈퇴 여부에 대한 북측의 추가 동향을 예의주시했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이 NPT 탈퇴에 나선다면 불행하고 후회스러운 일이 될 것"이라면서 "NPT 탈퇴의 의미는 북한이 당당하게 핵무기를 보유하겠다는 의미밖에 없다"고 북측의 합리적 판단을 촉구했다.

한편 다른 당국자는 미국의 `맞춤형 대북봉쇄' 전략과 관련, "미국 정부의 공식입장이 아니며 아직 우리 정부에 알려온 바도 없다"면서 "그같은 상황이 오기전에모든 외교적 노력을 다해서 상황개선 노력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미국은 파월 국무장관이 밝혔듯이 북한과의 대화가능성을 열어두면서현단계에서 외교적 노력을 계속하고자 하는 입장"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는 "내달 초 열릴 한.미.일 3국 대북정책조정감독그룹(TCOG)에서는 앞으로 예상되는 모든 상황을 가정한 대비책이 강구될 것"이라고 언급, 북한의 태도변화 여부에 따른 다양한 압박책이 강구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재훈기자 j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