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핵문제를 둘러싼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북한과 대화할 용의가 있으며 북한을 공격할 계획도 없다고 콜린 파월 미 국무장관이 29일 밝혔다.

파월 장관은 NBC 방송의 토크 프로그램 `언론과의 만남'에 나와 "우리는 (대화)채널을 열어놓고 있으며 북한과 소통 수단을 갖고 있다"면서 "그들도 우리와 접촉하는 방법을 알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 장관은 제임스 켈리 국무부 차관보가 향후 1-2주안에 한국을 방문해 북한핵문제 해결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그는 "북한이 행동을 바꾸지 않으면 북한을 도울 수 있는 어떤 일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파월 장관은 또 폭스 TV의 `폭스 뉴스 선데이'에 출연, "우리는 선제 공격 계획을 갖고 있지 않다. 미국은 모든 능력을 갖고 있지만 현 단계에서 북한을 위협함으로써 위기감을 조성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파월 장관은 "우리는 그것(대북 공격)을 당장 주목해야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항상 모든 선택사항들을 갖고 있다"고 상기시켰다.

이날 일련의 텔레비전 대담 프로에 나온 파월 장관은 어떠한 대화도 북한이 무기사찰단원을 추방하고 플루토늄을 생산하기 위해 실험실을 재가동한 것에 대한 보상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파월 장관은 문제는 북한이 핵개발 계획 중단을 대가로 미국의 양보를 요구하고있는 것이며 "그들이 원하는 것은 대화가 아니라 나쁜 행동을 멈추는 대가로 무엇인가를 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ABC 방송 '디스 위크'와의 인터뷰에서 "그들이 원하는 것은 협상이 아니며, 그들은 우리가 자신들의 나쁜 행동을 멈추도록 하는 어떤 것을 주기를원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는 북한을 달래기 위한 의미로는 즉각 협상에 들어갈수 없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AP.AFP=연합뉴스) songb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