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윤철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28일(현지시간) "시중의 유동성이 풍부한 것만큼은 사실이지만 과다한지를 당장 파악하기는 힘들다"며 "시중은행들이 총액대출한도를 축소하더라도 중소기업이 어려움을 겪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제57차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IBRD)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을 방문중인전 부총리는 이날 워싱턴에서 수행기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정확한 잠재성장률을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과잉유동성의 정도를 따지기는 힘들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 부총리는 "과잉유동성을 흡수하는 등의 통화정책은 전적으로 금융통화위원회가 결정하는 것이며 그 결정을 정부는 존중할 뿐"이라고 말하고 "세계 경제의 불투명성을 고려할 때 내수를 진정시키는 등의 정책은 현재로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워크아웃 기업과 경영주들이 낮은 금리에 안주하는 등 도덕적 해이를 보이고 있다"면서 "22개의 워크아웃 기업 가운데 절반 가량을 올해 안에 졸업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서울-하나은행의 합병과 국민은행 전산통합을 계기로 또 다른 합종연횡이 금융권에서 진행될 것"이라며 "특히 공적자금 투입에 따라 국유화된 은행의 민영화가 무엇보다 급하며 어디든 여건이 성숙되면 빨리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부총리는 "시카고에서 만난 J.다이먼 뱅크원 회장이 미국 경제가 앞으로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는 등 미국 주요인사들이 향후 경제전망을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며 "한국경제도 미국경제의 침체가 지속된다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내년도 균형재정을 달성하기 위해 애쓰다보면 경기대응력이 약화될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지적에 대해 "재정은 속성상 차기로 이월되는 것이 매우 많다"면서"이월분만 제대로 써도 확실한 재정투입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 부총리는 이어 "경기가 둔화될 경우에는 재정이 우선적으로 동원될 것"이라며 "다만 중국 등 아시아에 대한 수출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전 부총리는 현대투신 등 남은 구조조정 과제와 관련, "현 정부에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모두 해결할 것"이라면서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것은 없다"고 강조했다. 수도권 신도시 추가건설과 관련해서는 "부동산값 안정을 위해서는 부동산 공급을 늘려야겠으나 수도권 집중문제도 있어 딜레마"라고 말했다. (워싱턴=연합뉴스) 이경욱 기자 kyungle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