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자동차가 GM에 매각됐지만 뒷처리 과정에서 잔존법인 문제 등 예기치 못했던 변수들이 잇달아 돌출하고 있다. 이번에 튀어나온 제2금융권과 관계사들의 손실분담 문제는 그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가장 큰 현안은 대우인터내셔널이 갖고 있는 해외 상표권 문제다. 대우차가 해외에서 이 상표를 쓰려면 2천5백억원 정도를 대가로 내야 한다는게 대우인터내셔널측 주장이지만 정부 중재와 채권단과의 협의를 통해 수십억원선에서 타결될 것이란 관측이 유력하다. 두번째 현안은 대우자동차와 (주)대우, 대우차 현지법인 3자가 얽혀 있는 70억달러 규모의 채권 양수도 문제다. 대우차가 (주)대우를 통해 현지법인으로 자동차를 수출해 왔기 때문에 이들은 복잡하게 채권 채무관계가 얽혀 있는데, 이를 해결해야 현지법인 구조조정 작업이 제대로 진행될 수 있다. 산업은행은 (주)대우가 대우차에 갚아야 할 채무와 현지법인이 (주)대우에 진 채무를 상계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겠다는 방침을 내놓고 (주)대우측과 막바지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GM이 인수하는 해외 현지법인의 금융회사 채무를 어떤 방식으로 정리해 줄 것인지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일단 국내 금융회사에 대한 채무를 한 곳에 몰아서 정리하는 방식이 유력하다.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은 이들 문제에 대한 정리와 함께 GM이 인수하는 회사와 부평공장, 부산 버스공장, 군산트럭 공장, 잔존법인 등 5개로 분리하는 작업도 병행해 진행하고 있다. 이달 말까지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GM으로의 매각일정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채권단은 대우그룹에 대한 워크아웃 문제가 처음 제기됐던 3년전만큼이나 바쁜 7월을 보내야 할 것 같다. 김용준 기자 jun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