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신(金東信) 국방장관은 9일 "지난 6월 13일 당시 북한 경비정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침범을 합참이 단순침범으로 발표한 것을 진실을 은폐한 것 처럼 일부 정당과 일부 언론이 사실과 다르게 비판한 것에 대해 군은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오후 민주당 서해교전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천용택)와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고 "군이 정치논쟁에 휩쓸리지 않도록 각별히 관심을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천 위원장도 브리핑을 통해 당시 북한 경비정 침범을 2함대 사령부가 `특이 동향'으로 보고했으나 해군작전사령부가 단순침범으로 판단한 것은 당시 상급부대인 작전사가 `밝힐 수 없는 정보' 등을 토대로 종합적인 판단을 내린 것이며 은폐.축소한 것은 아니었다고 말했다. 천 위원장은 그러나 "서해교전 당시 북한군과 교전하던 해군 고속정이 초계함의 유효사거리 밖에 위치하는 등 작전상 일부 잘못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지적했다. 천 위원장은 "당시 고속정이 작전 기동을 할 때 초계함 화력의 유효사거리 안에 들어있지 않은 점은 잘못한 것"이라며 "그로 인해 적절한 화력지원에 문제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천 위원장은 교전 당시 통신체계 마비로 보고가 제대로 되지 않은 것과 관련, "전투중 (작전 장교의) 상부에 대한 적절한 지휘보고 훈련이 미흡했던 것아닌가 생각이 든다"며 대비책 마련을 촉구했다. 그는 그러나 "교전 직후 해군 2함대 사령관의 사격중지 명령은 정확한 피해보고를 받지 못한 상태에서 북한 미사일의 가동 징후 등에 비춰 불가피한 조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민철기자 minchol@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