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특구' 지정 희비 엇갈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포 매립지, 영종도, 송도신도시, 부산 일부지역, 광양만 등 5개 지역에 대한 정부의 경제특구 지정계획을 둘러싸고 지역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서울 경기 인천은 '대환영'이다.
이들 도시는 이구동성으로 "그동안 수도권 억제정책은 '정치적인 명분론'에 지나지 않았고 기업들이 지방으로 가기는 커녕 중국 등 해외로 빠져 나가는 부작용만 키워왔다"면서 "수도권경제특구는 영종도에 공항을 만들 때 이미 예정돼 있었다"며 대환영하고 있다.
지방중에서 부산 광양처럼 지정대상에 포함된 지역은 '다행'이라는 반응이면서도 수도권의 흡인력이 워낙 강해 부산이나 광양은 결국 '들러리'로 전락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갖고 있다.
경제특구와 비슷한 '국제자유도시' 지정을 앞서 받은 제주도도 걱정하는 분위기다.
제주도와 비슷한 기능이 수도권에 들어설 경우 제주도에 투자할 외국기업이 줄어들 것이 뻔하다는 시각이다.
얼마 전까지 부산은 제외되는 것으로 알려지자 크게 반발했던 부산은 "이왕 지정하려면 부산 전체를 지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시는 서부산권과 동부산권 센텀시티 등 7백32만평을 경제특구로 지정해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하고 있다.
김인환 부산시 기획관은 "부산 전체를 항만물류 중심의 지정학적 특색에 맞춰 발전할 수 있도록 경제특구에 포함시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주 등 지정대상에서 제외된 도시들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
정광훈 광주시 경제통상국장은 "정책이 지방 중심으로 가도 시원치 않을 마당에 수도권 강화쪽으로 기울고 있어 분통을 금할 수 없다"며 "이같은 현상이 지속된다면 중앙과 지방의 격차는 갈수록 벌어질게 뻔한 일"이라고 말했다.
김재철 광주.전남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도 "수도권이 집중 개발되면 광양과 부산 등 지방의 경제특구 지정도 의미가 없다"며 "투자에 유리한 수도권을 제쳐 두고 누가 과연 지방에 투자하려 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대구.경북지역도 정부의 허울뿐인 지역 균형개발 정책의 실상이 이번에 드러났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이종현 경북대 공대 교수는 "수도권이 인력과 자본이 집중돼 있어 당장 사업을 추진하기 편할지 모르지만 가뜩이나 비대화된 수도권에 경제특구까지 만드는 것은 결국 핵만 비대화시켜 자체적으로 붕괴하게 된다"며 "경제규모를 키울 수 있는 핵을 대구 광주 등 지방도시에 만들어 줘야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는 경제특구에 투자하는 외국 제조업체에 대한 세제지원 기준을 현행 5천만달러 이상 투자에서 1천만달러 이상 투자로 확대하고 내국인의 외국인학교 입학자격도 완화하는 등 파격적인 각종 규제완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김태현 기자 hyun1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