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정부는 국민이 동결된 예금으로국가의 불용 자산을 매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에두아르도 두알데아르헨티나 대통령이 13일 밝혔다. 이 조치는 동결된 예금으로 국채를 매입할 수 있도록 한데 이어 두알데 정부가예금 동결에 대한 국민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한 두번째 조치다. 그러나 예금자들은냉담한 반응을 보여 이 조치가 실행되더라도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두알데 대통령은 "국가가 토지를 비롯해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는 자산이 많다"면서 "동결된 예금으로 이것들을 살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도록 지시했다"고말했다. 정부는 국유지에서부터 정부보유 가구, 자동차 및 철도까지도 매각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금주말 스페인 방문을 끝내고 돌아오면 이 조치를 더 구체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그러나 아르헨티나가 페소화 폭락 등의 여파로 금융 체제가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임을 상기시키면서 이런 미봉책으로 예금자의 불만을 가라앉히기가어려울 것이라고 진단했다. 더욱이 5개월째 강행되고 있는 예금 동결에 대해 이나라 대법원이 불법이라고판결함에 따라 예금 인출이 이어져온 것도 두알데 정권의 이런 긴급처방 효과를 약화시키는 것이라고 이들은 지적했다. 한 예금자는 "달러 예금을 1대 1 환율로 페소로 강제 변경당해 가치가 절반 가량이나 떨어진 상태"라면서 "지난번에는 국채를 사라고 하더니 이번에는 쓸모없는정부 재산으로 바꾸라고 한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그는 "우리가 바라는 것은 현금으로 돌려달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알데 대통령도 이같은 불만을 의식한듯 "이번 조치를 도입하기에 앞서 예금자와 은행 관계자 등을 폭넓게 만나고 있다"면서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라고 고충을털어놨다. (부에노스 아이레스 AP=연합뉴스) jks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