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파업과 관련 노정간 합의가 이뤄졌지만 정작 당사자인 발전노조가 합의문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어 발전노조의 합의문 수용 여부가 이번 사태를 마무리 짓는 마지막 고비가 될 전망이다. 발전노조를 대신해 정부와 협상을 벌여왔던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1시로 예정됐던 총파업을 불과 1시간 앞둔 상황에서 정부와 극적인 합의를 이끌어냈다. 국회에서 통과한 발전소 매각 방침에 대해 노정 양측이 어느정도 의견을 같이 한다는 데 암묵적인 합의를 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의 초강경대응방침에 따라 정부측으로부터 더이상 받아낼 것이 없다는 노조측의 판단도 이번 협상타결에 한 몫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회복기미를 보이고 있는 경제에 찬물을 끼얹는다는 국민들의 냉담한 반응도 노조측의 입지를 더욱 좁게 만들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이같은 노정간 합의에도 불구하고 발전노조 집행부가 "민영화 관련 교섭은 논의 대상에서 제외한다"등 3개 항으로 이뤄진 합의문에 대해 강력한 이견을 제기하고 나섰다. 그동안 비난여론을 감수하면서까지 파업을 벌이며 얻으려했던 민영화중단문제를 해결하지못했다는 내부 조합원들의 반발이 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조합원의 민.형사상 책임및 징계 수위와 관련해 정부측의 보다 확고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관련 발전노조 집행부는 이날 오후 종묘공원에서 산개투쟁중인 조합원들을 집결토록 지시해 노.정 합의사항 수용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조합원 투표에서 노정 합의문이 통과될 경우 지난달 25일부터 37일동안 이어진 발전노조의 장기파업은 마침표를 찍게 된다. 투표가 부결될 경우 노조 집행부는 집단해고사태라는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해 노조원들의 현장업무 복귀를 지시하고 노조집행부가 중심이 돼 명동성당에서 파업투쟁을 지속할 방침이다. 하지만 정부마저 당황스럽게 만든 결속력을 보인 발전노조원들이 현장에 복귀할지는 미지수여서 발전파업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 < 발전노조 파업 일지 > 2001년 9월17일 = 발전회사 노사 단체협상 개시 2002년 2월9일 = 노조측,교섭결렬을 이유로 중앙노동위원회에 조정신청 2월 25일 = 중노위에서 최종 조정안 제시,노조측 거부 파업 돌입 3월 8일 = 중노위 중재재정 3월 9일 = 회사측,노조 핵심간부 1백9명 대상 1차 가압류 신청 3월12일 = 회사측,징계위원회 개최해 49명 해임결정 3월15일 = 회사측,미복귀 직원 전원 대상 2차 가압류 신청 3월19일 = 회사측,2차 징계위원회 개최해 1백47명 해임 결정 한국수력원자력 투표율 저조로 파업찬반투표 중단 3월 21일 = 발전회사 사장단 기자회견에서 25일까지 복귀명령 불이행자 전원해임 통보 방침 발표 3월 26일 = 민주노총 4월 2일 2차 총파업 결의 3월 29일 = 발전회사 노조원 144명 추가 해임 결정 3월 30일 = 노.정 협상,정부 노조측에 "민영화 교섭대상 아니다" 수용 요구 4월 2일 = 노.정 협상 극적 타결,합의문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