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업계의 특소세 감면요구에 따라 정부가 LNG(액화천연가스) 세금을 한시적으로 ㎏당 10원 인하키로 절충안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지자 정유업계가 에너지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20일 정유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8일 LNG 특소세 감면을 논의하기 위해 열린 국회재경위원회 소위원회에서 한시적인 ㎏당 10원 인하안을 제시했다. 이런 소식이 전해지가 정유업계는 중장기 에너지 정책의 토대인 종합 에너지 세제개편이 시행된지 불과 1년도 못돼 흔들리면 사업전망도 불투명해져 장기 사업계획을 마련할 수 없다고 비난하고 있다. 거액의 투자비가 소요되는 장치산업인 에너지 산업의 특성상 정책의 일관성이훼손되면 사업계획을 제대로 짤 수가 없고 이에따라 투자공백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아울러 LNG 세금이 인하되면 각종 에너지원들의 세금 인하 요구가 봇물터지듯 터져나와 에너지 정책의 혼란을 부채질 할 것이라고 정유업계는 우려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00년 관련업계, 학계 등의 의견을 취합, 오는 2006년까지 에너지원간의 가격차를 줄이는 것을 골자로 하는 종합 에너지 세제개편안을 마련, 작년 7월1일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정유업계는 이와함께 LNG만 세금을 인하하는 것은 형평성에 문제가 있다면서 LNG 세금을 낮추려면 산업용으로 쓰이는 LPG(액화석유가스), 중유, 경유의 세금도 같이 낮춰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중유는 에너지 세제개편에 따라 오는 7월부터 세금이 오르게 돼 있어 LNG만 세금을 내려줄 경우, 가격경쟁력에서 LNG에 크게 밀릴 가능성이 높다고 정유 업계는 지적하고 있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에너지 정책은 국가경제 전체의 효율성과 에너지 산업 전반의 균형을 고려해 장기적이고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지 특정 산업이나 특정 에너지원에 치우칠 경우 에너지 산업이 파행에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신삼호기자 ssh@yonhap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