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0일 김대중(金大中) 대통령 주재로 열린올들어 첫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올해 안보정책 추진방향중 하나로 ''남북 실질협력관계 증진''을 설정, 대북정책을 무리하지 않고 꾸준히 추진해 나간다는 입장을 재천명했다. 남북 협력 증진을 위한 우선적 방안으로 현재 교착상태에 빠진 남북대화의 진전을 강조한 것이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이다. 남북이 실질적인 협력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화의 채널''이 구축, 가동되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에따라 북측과의 대화 재개를 위해 당분간 북한의 대남 분위기를 주시한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관측된다. 즉 NSC에 대한 북한의 반응도 지켜보고 북한이 연초 개최해오던 정당.사회단체 연석회의에서 나올 올해 대남정책 방향을 주목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북한이 신년 공동사설에서 뚜렷한 대남정책 방향을 제시하지는 않았지만 6.15공동선언의 이행을 계속 강조하고 있는 만큼 그리 부정적이지는 않을 것이라는 것이 정부측 설명이다. 이와 함께 남북간 대화의 선(先) 제의도 고려 대상이기는 하지만 이미 지난달대한적십자사가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제의했던 만큼 북한의 변화가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대화를 먼저 제의하기는 다소 부담을 느끼는 상황이다. 정부는 남북간 대화가 재개되면 제6차 장관급회담에서 이미 원칙적으로 합의를봤던 이산가족 상봉, 남북경협추진위원회, 금강산 관광 활성화를 위한 당국간 회담등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이 확실시된다. 정부는 북한과의 대화를 통해 또 ▲이산가족 문제 해결 ▲경의선 철도 연결 ▲금강산 관광 활성화 ▲개성공단 조성 ▲군사적 긴장완화 등 5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통일및 대북 정책을 총괄적으로 입안, 집행하는 통일부는 이들 과제를 다시 상한목표(maximum goal)와 하한목표(minimum goal)로 나눴다. 홍순영 통일부 장관은지난 2일 올해 시무식에서 "이산가족 문제 해결과 금강산 관광은 올해 하한목표이고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방문을 비롯해 경의선 연결, 개성공단 조성, 군사적 긴장완화등은 상한 목표"라고 지적한 바 있다. 더불어 정부는 올해 대북정책 추진에서 초당적 협조와 국민적 합의를 우선 고려대상에 포함시킴으로써 차기 정부에서도 현재의 대북 포용정책을 계속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기로 했다. 정부 당국자는 특히 "올해 실시될 양대 선거 등을 감안할 때 성과에 연연하기보다는 대북정책의 내실화에 주력할 것"이라며 "북한도 제6차 장관급회담에서 대화의지를 보였던 만큼 남북회담이 재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장용훈기자 jy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