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유럽에서 거울은 "사치품"에서 "필수품"으로 거듭났다. 유리가공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거울은 사랑에 빠진 남자들의 연적,멋부리는 여자들의 조언자가 됐다. 그러나 거울은 악마성을 지닌 물건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그것은 마녀의 도구이며 그 안에 악령이 들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거울의 반사상이 야기하는 환상은 늘 경계의 대상이었다. 나르시스가 물속 자신의 모습에 사로잡힌 것처럼 거울은 덫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거울속의 나는 왼손잡이"란 싯구처럼 반사상은 대상을 왜곡시킴으로써 기만과 사술의 상징으로도 통했다. 영화 "비독"은 거울의 악마성에 근거한 공포 스릴러다. 19세기 파리에서 자신의 거울가면에 얼굴이 비친 자들을 반드시 살해하는 범인을 추적하는 이야기다. 타이틀롤인 비독(1775~1875)은 대도와 명탐정으로 변신하며 프랑스인들로부터 영웅으로 숭배된 실존 인물.프랑스 대혁명,나폴레옹의 등장,보불전쟁,파리코뮌 등 격변기에 루팡과 셜록 홈즈를 합친 듯한 인물에 국민이 빠져든 것은 어쩌면 당연했다. 프랑스의 국민배우 제라르 드파디유가 비독역을 맡았다. [한국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