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1일 자민련 김종필(金鍾泌.JP) 총재가 언론인터뷰를 통해 이회창(李會昌) 총재를 공격하고 나서자 '곡예정치' '기생정치'라는 극한 표현까지 동원, JP를 정조준하고 나섰다. 이 총재 핵심측근들은 "JP가 극언을 하는 것을 보니 이제 갈데까지 갈 모양"이라며 "자민련이 예의를 갖추지 않는데, 우리만 가만히 앉아 당할순 없지 않느냐"고적극적인 공격에 나설 뜻을 시사했다. 특히 이재오(李在五) 총무는 사석에서 "JP가 서산을 붉게 물들인다고 했는데, 서산의 붉은 해도 질 때가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고 몰아세웠다. 나아가 "JP가 항상 권력편에 서왔으나 이제는 정치생명을 마감할 때가 된 게 아니냐"고 공격했다. 김기배(金杞培) 사무총장은 주요당직자회의에서 "JP가 인터뷰에서 '대법관을 지낸 분이 그렇게 국회운영을 해서 되느냐'며 예산안을 기일내 처리하지 못한 것을 지적하던데 어떻게 그게 이총재 책임이냐"면서 "이 총재가 국회를 좌지우지하는 것도아니고, 예산안은 여야가 합의해 처리하는 것 아니냐"고 강한 불쾌감을 표출했다. 권철현(權哲賢) 대변인도 "하시는 일이 잘 안되니 요즘 짜증이 나시는 모양"이라며 "JP가 평상심을 잃고 있다"고 꼬집었다. 권태망(權泰望) 부대변인은 논평에서 "줄타기식 곡예정치와 정치적 과실만 챙기는 기생정치는 영원히 사라져야 한다"면서 "탄핵안 처리 과정에서 보여준 JP와 자민련의 행태는 어떠한 변명으로도 정당화될수 없다"고 격앙했다. 그는 또 "절대다수 국민은 `DJP 야합' 복원을 위한 수순밟기라고 생각한다"면서"JP가 남은 정치인생을 국민에게 봉사할 생각이라면 탄핵안 파동에 대해 사과하고향후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공세를 퍼부었다. 당내에선 그러나 이 총재와 JP가 여전히 2야공조를 포기하지 않고 있고, 자민련과의 첨예한 대치전선이 형성될수록 자민련내 잠재적 입당파들의 입지를 좁히는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론도 제기된다. (서울=연합뉴스) 안수훈기자 a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