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11일 오후 삼청동 교원징계재심위원회대강당에서 한완상(韓完相) 부총리와 전국 190여개 대학총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갖고 최근 심각해지고 있는 대졸자 실업대책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진념(陳稔) 부총리겸 재정경제부 장관과 노동부 김용달(金容達) 고용정책실장 등도 참석해 범정부 차원의 대학졸업자 취업률 제고방안을 설명하고 총장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한 부총리는 "학교의 명성과 권위가 입학성적보다는 졸업생들의 활동상황에 의해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총장들이 각 대학의 역량을 최대한 동원해 취업지원 활동에 나서달라"고 말했다. 한 부총리는 이어 "취업에 필요한 정보의 유통과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대학생 취업정보센터'를 설치하도록 지원하겠다"며 "대학들도 각기업들의 채용패턴이 과거와 다른 점을 감안해 교육과정과 운영형태를 사회.경제적변화에 맞게 개편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대졸자의 실업해소를 위해 지난달 국내 100대 기업에 공문을 보내 대학졸업예정자에 대한 채용규모를 확대해 줄 것과 지방대학생과 여학생에 대한 채용차별을 없애줄 것을 당부했다. 또 각 대학들도 취업담당 부서의 기능을 강화해 취업지도를 활성화해달라고 당부하고 취업률 제고를 위한 각 대학들의 자구노력을 행정, 재정 평가시에 반영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동부 김용달 고용정책실장은 정부가 내년부터 시행할 예정인 청소년 대상 직장체험프로그램을 설명하고, 수료자들에게 향후 취업시 경력을 인정해 우선 채용하는 혜택을 부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직장체험프로그램은 대학졸업자 및 졸업예정자 3만5천명을 근로자 300인 이상의 대기업과 정부 부처에서 월 25만∼30만원의 급여를 지불해 3∼6개월간 고용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밖에 2005학년도 대입수능시험 개편안 등 대학입시제도 개선방안과 수능시험 총점제 폐지, 지방대 육성방안, 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교대편입 문제 등 교육정책 전반에 걸쳐 총장들의 건의와 의견개진이 이뤄졌다. (서울=연합뉴스) 김지훈 기자 hoon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