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호진(金浩鎭) 노동장관은 31일 오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경제5단체장과 조찬간담회를 갖고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고려해 도입 시기를 신중히 하고 도입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별도의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간담회에서 "근로시간 제도개선 문제는 근로자의 삶의 질 향상 뿐만 아니라 기업경쟁력 강화로 이어져 노사 동반 성장이 가능한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며 "특히 노사정 합의로 추진될 수 있도록 대승적 차원에서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그는 이어 "주5일 근무로 기업 경영의 어려움이 예상될 수도 있지만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그동안 노사.공익위원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는 등 최선을 다해왔으며, 국제기준에 맞고 기업실정을 고려해 도입시기와 방법을 정하고 실근로시간이 단축되는 방향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제5단체장들은 준비가 필요한 만큼 실시 시기를 2003년 이후로 늦추고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충분한 유예와 정부 지원대책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조남홍 부회장은 "연간 휴일일수와 실시 시기가 가장 큰 문제"라며 "2003년부터 주5일 근무를 실시해야 하고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최대한 유예기간을 거쳐 정부의 세제 지원 등이 마련된뒤 시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전경련 손병두 부회장은 "주5일 근무제는 국가 경쟁력,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향상시키는 쪽으로 추진돼야 한다"며 " 휴일수나 초과 근로시간 할증률, 실시시기 등은 기업의 사정 등을 감안해 국제기준에 맞고 충격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정해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중소기협중앙회 김영수 회장은 "중소기업들은 주5일 근무제가 도입되면 큰일난다는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며 "대기업이 먼저 도입하면 중소기업도 따라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차원의 특별 지원대책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간담회에는 경총 김창성 회장과 조남홍 부회장, 전국경제인연합회 손병두 부회장, 대한상공회의소 박용성 회장, 중소기협중앙회 김영수 회장 등이 참석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성한 기자 ofcourse@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