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은 18일 미국 하원의원 8명이 언론사 세무조사 등에 관해 김대중(金大中) 대통령 앞으로 서한을 보낸 것과 관련, "한국의 언론이 누리고 있는 언론자유는 미국 의원보다 우리 국민과 언론인들이 더 자세히 알고 있다"고 일축했다. 민주당 전용학(田溶鶴)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일부 언론이 이들 미국의원의 서한발송 사실을 비중있게 다뤘으나 한국의 언론 상황은 미국 국회의원보다 현장에서 뛰는 기자들을 비롯한 우리 언론인과 국민들이 더 자세히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며일부 언론의 보도태도에 유감을 표시했다. 전 대변인은 또 "여러분(기자)들이 언론자유와 관련해 권력으로부터 부당한 간섭과 편집권 침해가 있었다면 비중있게 다뤄도 좋으나, 권력으로부터 간섭이 국민의정부 들어 더 없어졌고, 언론기업이라고 해서 납세의무의 예외지역이 아니라면 현명한 판단을 해주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또 외교당국자는 양성철(梁性喆) 주미대사를 통해 금명간 미국 의원들에게 한국의 언론상황을 설명하는 답신이 전달될 것이라면서 "미국 의원들은 입법활동의 일환으로 다른 나라 문제에 대해 의견을 제시하곤 하기 때문에 이례적인 일도, 크게 의미를 부여할 일도 아닌데 일부 언론이 크게 보도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미 의원들이 언론사 세무조사의 실태를 잘 모르고 편지를 보낸 것인 만큼 외교채널을 통해 세무조사가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라 부정한 탈세에 대한 조사라는 점을 설명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 의원들의 서한발송을 '내정간섭'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미국의 정치인들이 입법활동의 하나로 흔히 그런 일을 하는 만큼 내정간섭으로는 보지는 않는다"며 "500명에 달하는 미국 국회의원 가운데 극히 일부 의원들의 의사표시일 뿐"이라고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 (서울=연합뉴스) 윤동영기자 ydy@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