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6일 수도권 집중호우로 대규모 인명.재산피해가 발생하자 수해복구를 위한 재해대책예비비 증액 등 추경안 편성 문제를 놓고 또다시 공방을 벌였다. 민주당 김중권(金重權) 대표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앞서 여야 총무협의에선(추경안 처리를) 늦게 해도 괜찮다는 식으로 결론냈지만 사정에 커다란 변화가 생긴만큼 이번 회기에 추경안이 본회의를 통과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수(李相洙) 총무도 "올해 재해대책비는 한나라당의 삭감요구로 7천억원밖에편성되지 않았으나 앞서 폭설과 가뭄대책 등에 3천663억원을 사용해 3천337억원밖에남지않았다"면서 향후 다른 재해 등을 감안, 예비비 9천억원 확보를 주장했다. 민주당은 당초 지방교부금 3조5천523억원, 건강보험보조금 7천354억원, 장마 등에 대비한 재해대책예비비 2천778억원, 저소득층 의료보호환자 체납지원비 4천500억원, 청소년 실업대책비 400억원 등으로 추경안을 짰었으나 재해대책비의 추가증액여부를 검토키로 했다. 이해찬(李海瓚) 정책위의장은 "그간 설해, 한해 등으로 예산을 조기집행한 상황이어서 이번에 수해복구에 돈을 쓰면 예비비 여력이 없다"면서 "진작부터 서둘러 처리해야 한다고 하지 않았느냐"며 야당의 `비협조'를 힐난했다. 이 의장은 "꼭 필요한 것들로만 추경안을 편성했기에 반나절이면 심의는 충분하다"면서 18일 오전 예결특위 심의를 거친 뒤 당일 오후 본회의 통과를 요구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수해규모가 정확치 않은 시점에서 추경 편성을 논의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굳이 추경을 편성하지 않더라도 예비비 5천억원, 재해대책비 1천억원이 있다는 자체 추계를 내세워 이 예산으로 수해복구가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특히 재해대책비 증액 외의 다른 용도의 추경에 대해서는 내년 지방선거 등을 겨냥한 선심성 예산임을 내세워 회기내 처리에 반대한다는 의사를 분명히했다. 김만제(金滿堤) 정책위의장은 "현재 남아있는 예비비, 재해대책비로도 수해복구와 이재민 지원을 충분히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여당이 이를 빌미로 추경안 편성을주장하는 것은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재오(李在五) 총무도 추경편성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밝혔다. 특히 권철현(權哲賢) 대변인은 "일단 총 피해 규모를 파악한 뒤 추경안 편성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면서 "피해 규모가 산출되지도 않은 시점에서 추경안 편성 운운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주장"이라고 말했다. hjw@yna.co.kr (서울=연합뉴스) 황정욱 고형규기자 kh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