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투자대상국이다.

수출입은행 통계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대(對)중국 투자는 지난해말 기준으로 6천3백3건(투자허가 기준)이며 이중 87.2%가 제조업이다.

초창기 주로 섬유 의류 식품 등 노동집약적 업종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나 중국의 투자개방 업종이 늘어나고 내수시장이 활성화된 1990년대 후반부터는 가전 통신장비 기계 자동차부품 등 자본집약적 업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아졌다.

무역 호텔 운수 금융 등 서비스 업종의 진출도 늘어나고 있지만 아직은 20% 미만이다.

투자 지역은 발해만 지역의 동북 3성과 상하이(上海) 등 화중 지역에 집중되고 있다.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대중 투자에 수출 유발 등 긍정적 효과와 국내산업 공동화 등 부정적 요인이 공존한다며 산업구조조정과 연계된 투자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철강 기계 전자 화공 등 설비 및 부품수출 유발효과가 큰 업종과 자동차 정보통신 화섬 등 중국시장 진출이 유망한 업종에 투자 우선순위를 둬야 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핵심 부품과 기술은 국내에서 조달하고 양산 기지로 중국을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최근들어서는 다국적 기업들의 대중 투자패턴이 유망 지역을 독점하는 쪽으로 전개되고 있어 기회 선점 시기를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일례로 독일 지멘스의 경우 충칭(重慶) 시정부와의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공업 에너지 정보 교통 의료 가전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2천만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KOTRA 관계자는 "중국의 잦은 정책 변화와 법규정의 자의적 해석,사회간접시설의 취약 등 투자 걸림돌도 적지 않다"며 "업계의 질서 있는 진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