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예고된 MMF 혼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6.1%를 준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5.5%밖에 못주겠다고 하니 말이나 됩니까"
"당일환매제가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당장 돈을 못주겠다는데 이러고도 신용을 먹고 사는 금융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까"
최근 기자가 투신사 고객으로부터 받은 전화 내용의 한 토막이다.
불만은 투신사의 MMF(머니마켓펀드)와 관련된 것.
투신사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MMF 환매를 둘러싼 투신사와 고객간의 실랑이가 요즘들어 끊이지 않는다.
전체 금융시장도 투신사의 MMF 때문에 난리다.
금리가 오르자 MMF의 손실이 커졌고, 이를 알아차린 기관투자가들이 먼저 MMF를 환매해 가기 시작했다.
투신사는 채권을 내다팔 수밖에 없었고, 이는 다시 ''금리급등→MMF 손실확대→환매증가→채권매물 증대''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부랴부랴 ''채권시장 안정대책''을 내놓고 진화(鎭火)에 나섰지만 ''언 발에 오줌누기''에 불과하다.
따지고 보면 ''MMF 대란''은 연초부터 예고된 일이다.
그럼에도 투신사 정부 기관투자가(고객)는 애써 이를 외면한 채 설마하다 화를 자초하고 말았다.
투신사들은 연초 금리가 하락하자 앞다투어 MMF 확대에 나섰다.
대우사태 이후 취임한 투신사 사장들은 자신의 업적을 쌓기 위해 높은 금리를 내걸고 MMF를 마구잡이로 끌어들였다.
MMF 비중이 수탁고의 70%를 넘는 회사가 나올 정도였다.
정부도 마찬가지다.
연초부터 "MMF가 시한폭탄이 될 가능성이 높으니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경고가 잇따랐지만 "괜찮다"고 일축했다.
은행 등 일부 기관들은 콜을 빌려 MMF에 투자하는 등 도덕적 해이로 까지 비쳐질만한 일도 서슴지 않았다.
투신사가 MMF라는 ''폭탄 돌리기''의 주범이었다면 정부와 일부 기관은 이를 방관한 ''미필적 고의범''이었던 셈이다.
잔치는 끝났다.
MMF라는 시한폭탄의 뇌관에 불이 붙을 조짐이다.
그 피해는 투신사만 믿고 자금을 맡겼다 원금마저 떼일 지경에 처한 개인투자자에게 돌아가게 됐다.
누군가 책임져야 할 문제다.
허점이 노출되고 있는 제도도 서둘러 손질해야 함은 물론이다.
하영춘 증권부 기자 hayoung@hankyung.com
"당일환매제가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당장 돈을 못주겠다는데 이러고도 신용을 먹고 사는 금융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까"
최근 기자가 투신사 고객으로부터 받은 전화 내용의 한 토막이다.
불만은 투신사의 MMF(머니마켓펀드)와 관련된 것.
투신사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MMF 환매를 둘러싼 투신사와 고객간의 실랑이가 요즘들어 끊이지 않는다.
전체 금융시장도 투신사의 MMF 때문에 난리다.
금리가 오르자 MMF의 손실이 커졌고, 이를 알아차린 기관투자가들이 먼저 MMF를 환매해 가기 시작했다.
투신사는 채권을 내다팔 수밖에 없었고, 이는 다시 ''금리급등→MMF 손실확대→환매증가→채권매물 증대''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부랴부랴 ''채권시장 안정대책''을 내놓고 진화(鎭火)에 나섰지만 ''언 발에 오줌누기''에 불과하다.
따지고 보면 ''MMF 대란''은 연초부터 예고된 일이다.
그럼에도 투신사 정부 기관투자가(고객)는 애써 이를 외면한 채 설마하다 화를 자초하고 말았다.
투신사들은 연초 금리가 하락하자 앞다투어 MMF 확대에 나섰다.
대우사태 이후 취임한 투신사 사장들은 자신의 업적을 쌓기 위해 높은 금리를 내걸고 MMF를 마구잡이로 끌어들였다.
MMF 비중이 수탁고의 70%를 넘는 회사가 나올 정도였다.
정부도 마찬가지다.
연초부터 "MMF가 시한폭탄이 될 가능성이 높으니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경고가 잇따랐지만 "괜찮다"고 일축했다.
은행 등 일부 기관들은 콜을 빌려 MMF에 투자하는 등 도덕적 해이로 까지 비쳐질만한 일도 서슴지 않았다.
투신사가 MMF라는 ''폭탄 돌리기''의 주범이었다면 정부와 일부 기관은 이를 방관한 ''미필적 고의범''이었던 셈이다.
잔치는 끝났다.
MMF라는 시한폭탄의 뇌관에 불이 붙을 조짐이다.
그 피해는 투신사만 믿고 자금을 맡겼다 원금마저 떼일 지경에 처한 개인투자자에게 돌아가게 됐다.
누군가 책임져야 할 문제다.
허점이 노출되고 있는 제도도 서둘러 손질해야 함은 물론이다.
하영춘 증권부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