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통신의 국민경제적 비중은 한마디로 엄청나다.

지난해 매출액은 13조5천억원에 달했고 자산규모는 28조9천억원에 이르고 있다.

현대그룹이 계열분리 되기 전인 지난해 4월기준 자산규모로 따져 현대(88조6천억원) 삼성(67조4천억원) 한전(64조1천억원) LG(47조6천억원) SK(40조1천억원)에 이어 재계 6위에 해당한다.

고용규모 면에서는 지난 2월 현재 4만6천명으로 현대자동차 4만9천명에 이어 국내 2위다.

주식 시가총액면에서도 삼성전자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는 거대 기업이다.

통신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유선가입자망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어 거의 모든 유·무선 통신사업자가 한국통신의 네트워크에 의존해 통신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자회사를 포함한 한국통신 기업군의 시장점유율은 무려 68%에 달하고 있고 한국통신만의 점유율도 53%나 된다.

이밖에도 국내 1만여 업체로부터 연간 2조8천억원 규모의 통신장비를 구매하고 있어 통신장비 시장에서도 단연 최대 구매자다.

이런 한국통신의 국민경제 및 통신산업에서의 비중으로 인해 한국통신의 민영화는 재계판도를 뒤흔드는 것은 물론이고 우리나라 통신서비스 산업의 미래와도 직결되는 변수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지나치게 덩치가 큰 상태에서의 민영화에 따른 부담을 덜기 위해 한 때 분할민영화 방안이 거론되기도 했다.

그러나 분할보다는 통합으로 가고 있는 세계 통신업계의 추세에서 분할론은 이미 설득력을 잃어 가고 있다.

최경환 전문위원·經博 kghw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