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와 주요 대기업 등을 회원사로 둔 자유기업원은 2일 참여연대에 대해 최근 펼치는 소액주주운동을 중단할 것을 촉구하는 등 맹비난하고 나섰다.

이처럼 재계가 참여연대의 활동을 정면 반격함에 따라 코 앞에 닥친 주총시즌에서 재계와 시민단체가 갈등을 빚을 전망이다.

민병균 자유기업원 원장은 이날 낮 기자간담회를 갖고 "참여연대가 벌이는 소액주주운동은 과도한데다 시기상조이기 때문에 더 이상 지속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우리가 생존하기 위해 건너야 할 길에 걸림돌이라고 생각되는 교육,노동,NGO(비정부기구)의 활동에 관심을 갖고 대응할 계획"이라며 "운동의 폐해도 있을 수 있다는 차원에서 감시를 게을리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유기업원의 이런 주장은 오는 9일 삼성전자,16일 SK텔레콤 등 주요 대기업들의 주주총회를 앞두고 참여연대가 벌여온 소액주주 운동에 대해 재계의 입장을 대변한 것으로 풀이된다.

배석한 김정호 자유기업원 부원장도 "소액주주운동은 기업의 투명성을 높이고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는데 기여한 점도 있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참여연대의 소액주주운동은 시장경제나 주주이익과는 거리가 먼 측면이 있다"고 강도높게 비판했다.

그는 "소액주주운동이 장기적으로 기업의 이윤극대화를 저해한다면 주주의 이익은 오히려 침해되고 기업은 경쟁력을 잃게 되는데 현재의 소액주주운동이 이런 위험을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소액주주운동가들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주주 이익이 아니라 노동 및 시민운동가에 의한 기업의 통제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박종찬 자유기업원 NGO실장은 "참여연대가 자본주의를 통제하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고 활동하는 것에 반대한다"며 "참여연대가 노동운동을 포함한 변혁적 민중운동과 일정한 선을 분명하게 그을 것"을 제안했다.

한편 참여연대 관계자는 "자유기업원이 항상 주장하던 얘기로 대응할 만한 가치가 없다"며 "소액주주운동은 계속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구학 기자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