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기성복 전시회(프레타포르테)를 참관하기 위해 최근 파리에 들렀다.

전시회는 수만명의 패션 관계자들로 북적댔다.

프레타포르테를 비롯 매년 1월 중순부터 3월초까지 잇따라 열리는 최고급 맞춤복(오트쿠튀르) 패션쇼와 파리컬렉션 등을 보기 위한 것이다.

이번 출장중 가장 인상에 남은 것은 스웨덴의 H&M과 스페인의 자라(Zara)라는 브랜드.

이들이 리볼리 거리와 오페라가 등에 낸 대형 매장의 인기는 폭발적이다.

주말에는 경비원들이 정문 입구에 늘어서서 고객들을 통제할 정도였다.

스페인과 스웨덴.두 나라는 패션산업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알려져왔다.

이들이 패션 본고장을 휘어잡을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유럽의 최신 유행을 반영한 감각적인 상품과 저렴한 가격을 꼽는다.

청바지가 3만∼4만원,드레스가 5만∼6만원,가죽재킷이 12만원 정도다.

패션지 르피가로는 최근호에서 ''이같은 제품을 그정도 가격에 사기 힘들다''며 ''프랑스와 이탈리아 제품중 자라와 H&M의 경쟁 브랜드는 없다''고 분석했다.

자라와 H&M의 활약상은 우리 패션업계에도 희망을 안겨주는 사례다.

''이방인''도 파리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음을 증명해 보인 것이다.

이번 사례를 통해 반성의 계기를 찾을 수도 있다.

국내 유명 디자이너들은 지난 90년대 초반부터 앞다퉈 파리진출을 선언했다.

일부 중견업체는 파리지사를 내기도 했다.

그러나 그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디자이너들과 의류업체 상당수가 영업부진으로 파리 무대에 서는 꿈을 접어야 했다.

진출초기의 지나친 마케팅과 홍보로 프랑스의 아타셰프레스(전문홍보인)들로부터 ''한국인은 봉''이라는 놀림을 당하기도 했다.

한 프랑스인 아타셰프레스는 "한국 브랜드의 품질과 디자인은 훌륭하다.

그러나 꼭 사야할 만큼 매력적이지는 않다"고 잘라 말했다.

어떤 옷이 시장에서 통할 수 있을지 철저한 시장조사를 하지않고 느낌과 의욕만으로 뛰어들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파리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것은 프랑스에서 만든 옷이 아니다.

스웨덴의 H&M은 파리 입성을 위해 지난 10년 동안을 준비했다는 사실을 되새겨 볼 때다.

sol@hankyung.com